38page
38page
평택의 독립운동가 원심창 의사
원심창 의사. 원심창은 1906년 12월 1일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당시 충청남도 평택군 부용면) 안정리 175번지에서 출생했다. 1918년 평택공립보통학교(현, 성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였다. 1922년 서울의 중동학교를 졸업한 후, 1923년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대학 전문부 사회과에 진학하였다. 1929년 일본 도쿄유학생 학우회의 폭력사건으로 징역 3월형을 선고받고 투옥되었다가 1931년 북경으로 건너갔다. 같은 해 4월 이회영, 류자명, 백정기 등과 아나키스트 연맹을 조직하였고, 6월 남화한인청년연맹에 가담하여 총서무를 담당하였다. 1932년 11월 천진 일본영사관과 일본군 병사 폭파에 참가하는 등 대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33년 3월 남화한인청년연맹 단원들과 주중일본공사 아리요시를 암살하기로 계획하고, 이강훈, 백정기 등과 중국 상해에 있는 윤삼정 부근에서 대기하던 중 일본첩자의 밀고로,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일본 나가사키지방재판소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광복을 맞이하였고, 1945년 석방되었다. 해방후에는 국내에서 신탁통치반대운동에 참여하였고, 1946년 일본으로 돌아가 재일한인사회의 안정을 위해 전력했다. 재일조선거류민단을 창설하고 초대 사무총장과 11대, 12대 중앙단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재일학도의용군 모집총책으로 남한의 공산화 저지에 힘썼고, 전재원호사업위원회를 구성하여 전쟁의 참화로 인한 부상자들을 도왔다.
38page
1953년 한국전쟁이 휴전에 들어가자 남북통일촉진협의회를 결성하였으며, 1959년 통일조선신문을 창간해 대표위원으로 선출되어 통일운동을 계속하였다. 1971년 7월 4일 일본에서 오랜 수감생활 끝에 얻은 병으로 영면하였고, 장례는 재일한국인 사회장으로 치러졌다. 동시에 의사 칭호를 추존받았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200m 후방에 원심창 의사의 생가터가 남아있다.
○ 명예도로명, 원심창로 : 이미 도로명이 부여된 도로구간(안정로)에 독립운동가 원심창 의사의 숭고한 뜻을 받들기 위하여 2016년 12월 '원심창로'로 명예도로명이 부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