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page

37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관직명 해설 금자광록대부 (金紫光祿大夫) 고려 문산계(文散階)의 하나로 종 2품 관리. 금자숭록대부 (金紫崇大祿夫) 고려 문산계(文散階)의 하나로 종 1품의 품계. 금자흥록대부 (金紫興大祿夫) 고려 문산계(文散階)의 하나로 종 1품의 품계. 급사중(給事中) 고려 때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된 종 4품의 벼슬. 기거랑(起居郞)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 5품의 벼슬. 기거사인(起居舍人)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 5품, 후에 정 5품이 되었다 . 기거주(起居注)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 5품, 후에 정 5품이 되었다 . 낭관(郞官) 조선의 6품관(六品官). 낭사(郞舍) 고려 문하성(門下省)에 소속된 간관(諫官)의 총칭. 낭장(郞將) 고려 때 정 6품의 무관직. 낭중(郞中) 신라 때 관직으로 사지(舍知:13등급)에서 내마(奈麻:11등급)까 지 역임. 고려 때 6부(六部)에 소속된 정 5품의 벼슬. 낭청(郞廳) 조선 때 비변사(備邊司)에 속한 종 6품의 관직. 내급사(內給事) 고려 때 전중성(殿中省)에 소속된 종 6품의 벼슬. 내사사인(內史舍人) 고려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에 소속된 종 4품의 벼슬. 내사시랑평장사 (內史侍郞平章事)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 2품 벼슬. 내시(內侍) 고려 때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자제(世族子弟)들을 임용하여 숙 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던 관원. 조선 때 환관의 별칭. 내신좌평(內臣佐平) 백제의 1품 관직. 시중(侍中)과 같은 수상(首相)과 같다. 내직랑(內直郞) 고려 때 동궁(東宮: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 6품의 벼슬. 영원장군(寧遠將軍) 고려 때 정 5품의 무산계(武散階:무신의 품계). 녹사(錄事) 고려 때 정 5품의 무관 벼슬. 조선 때 각 관아에 속한 하급이속(吏屬) . 대사간(大司諫) 조선 때 사간원(司諫院)의 최고직으로 임금에게 충간(忠諫)하는 일 을 하는 정 3품의 벼슬. 대사성(大司成) 조선 때 성균관의 최고직, 유학(儒學)에 관한 일을 맡아하던 정 3 품 의 관리. 대사헌(大司憲) 조선 때 사헌부(司憲府)의 수장으로 정 2품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