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page

Special Theme • 신간회 창립의 배경 - 1920년대 중반 주요 민족운동의 흐름과 양상 37 족통일전선’ 결성 시도 역시 한동안 침체할 수밖에 없었다. 민족주의 세력의 ‘민족적 중심세력’ 형성 시도와 연정회 부활 1910년대 중반부터 일본은 사회 전반에 민주주의 적 · 자유주의적 분위기가 고양되는 이른바 ‘다이쇼 (大正) 데모크라시’가 진행되고 있었다. 일본의 다이 쇼 데모크라시는 1920년대 들어서면서 한층 더 고 조되는데, 그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1925 년 3월 보통선거법 제정이다. 보통선거법의 제정으 로 일본의 유권자 수는 기존의 300만 명에서 1,200 만 명으로 크게 확대됐다. 이것은 일반 민중의 대대 적인 정치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이 에 따라 다양한 정치세력이 의회로 진출할 수 있 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일본의 사회주의 세력을 기 반으로 한 무산정당이 의회 진출을 시도하면서 일본 정계에 일대 파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일본의 정세 변화는 식민지 조선에도 영향 을 미쳤다. 일본의 보통선거제 도입과 이에 따른 무 산정당의 의회 진출이 가시화함에 따라 식민지 조선 에 대한 일제 식민권력의 정책에 모종의 변화가 생 길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여 기에 국공합작을 이룬 중국국민당 세력을 중심으로 ‘북벌’이 전개됐고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소식이 전 해졌다. 일본과 중국에서 연이어 나타난 정세 변화 는 식민지 조선의 민족주의 세력을 고무시키기에 충 분했다. 이러한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926년 하반 기 ‘동아일보 그룹’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 세력은 민족의 역량을 한곳으로 집중할 수 있는 ‘민족적 중 심세력’을 형성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결성 을 시도했다가 무산된 연정회(硏政會)를 부활하기 위 1928년 무렵 최린(『동아일보』 1928.4.3)  신간회 창립대회장 광경(『조선일보』1927.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