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page

Special theme  • 「조선혁명선언」의 사상적 의미 31 로 문건의 제목은 ‘조선혁명’이지만, 실제 내용은 ‘민 중 직접 폭력혁명’을 통한 ‘민중적 조선’의 건설을 뜻 하였다. 조선 민족의 국가 건설이나 독립된 정부의  조직을 시사하는 표현과 용어는 배제되었다. 민중 의 자유와 생존을 위협하는 일체의 지배계급이 없 는 평등한 사회의 건설이 추구되었다. 신채호가 말 하는 ‘조선혁명’에는 국가나 정부와 같은 권력적 지 배 기구에 대한 부정적 의식과 무정부적 평등사회 에 대한 지향성이 나타나 있다. 국망 이후 신채호의 고뇌와 무정부주의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은 의열단 단원이었던  유자명과 함께 집필했다고 한다. 이 시기 유자명은  중국인 무정부주의자들과 교류하면서 무정부주의  사상을 수용했다고 한다. 따라서 「조선혁명선언」에  무정부주의적 요소가 나타나 있다. 신채호가 무정부 주의자 유자명과 만나기 전까지 무정부주의 사상을  수용했던 자료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국망  이후 자신이 그동안 견지했던 사 회진화론적 자강론에 기초하여  영웅적 신국민을 만들고 이를 통 해 독립된 민족국가를 건설한다 는 이론에 대해 비판적 성찰 작 업을 계속했다. 이 과정에서 무 정부주의적 사고에 접근할 수 있 었다. 그는 국망 이후 ‘무국민의 특 별 도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나라가 있을 때와 나라가 없을  때가 다르다고 보았다. 나라가  없는 국민에게는 지배자와 강자를 위한 복종과 의 무  중심의 노예 도덕이 아니라 약자와 패배자를 위한  저항과 반항의 도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국망 이 전 그는 사회진화론을 받아들여 제국주의 국가를 약 소 민족이 실력을 양성하여 자주독립 국가로 발전하 기 위해 본받아야 할 모범적 국가로 보았다. 그러나  망국 이후 제국주의 국가는 약소 민족에게 있어 타 도되어야 할 적대 국가였다. 강자와 지배자는 승리 자로서 찬미할 대상이 아니라 약자를 억압하고 약탈 하는 절대적인 악의 존재로 설정되었다. 이제 약자 는 강자가 되기 위한 준비와 노력을 하는 것이 아니 라 절대 악의 존재에 대해 반항하고 저항하는 데서  자신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존재가 되었다. 신채호 에게 있어 약자인 민중이 강자인 지배계급과 침략자  강도에 승리할 수 있는 정신적 무기로서 약자의 특 별 도덕을 찾고자 하였다. 그것은 억압자와 약탈자 에 대한 약자인 민중의 ‘저주’와 ‘반항심’이었다. 신채 호의 이러한 지적 모색 속에서 유자명의 무정부주의 ➊  신채호와 함께 「조선혁명선언」 기초 작업에 참여한 무정부주의자 류자명(1894~1985) ➋  중국 창사 후난(湖南)농업대에 세워진 류자명 흉상(윤태옥 제공) ➋ 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