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page

30 2023년 5월 Special Theme  독립운동사 연구교육의 현황과 과제 독립운동사 연구 · 교육 강화해야 다. 이는 민주시민교육으로 역사교육의 목적을 설정 한 교육과정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다 만 민주시민교육이 일반사회과 교육의 목적 중의 하 나라는 점에서 역사교육이 이에 따라야 하느냐 하는 문제는 남는다. 여러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독립운동사 교육은 현 대를 살아가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공부 하고 고민해야 하는 문제가 되었다. 이는 2000년대 이래 한국사 교과서의 편찬과 검정 과정에서 보였 던 파행이 단순히 교육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치사회 적인 문제로까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인지 유독 학교 현장에서 일제 강점기와 현대사 수업에서 편향적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것이라 생각된다. 독립운동사 교육의 실태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사 교육은 크게 보면 학교 내 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 는 교육은 한국사 교과서를 통한 교육이 주가 된다. 즉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진 다. 이는 한국사 교육과정에 근거한 것으로 사실상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일정한 학령기에 누구나 교육 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제7차 교육과정기 (1997.12~2008)에 한국근현대사가 선택교과였으므 로, 이과 학생이나 문과 학생 중 선택하지 않은 학생 들은 교육을 받지 못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중고등학생이 한국사 중 일 제강점기를 가장 공부하고 싶은 시대로 꼽은 비율 은 2015년 33.2%, 2016년 42.9%이었다. 이는 선사 시대, 고조선, 삼국시대, 통일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 을 압도하였고, 1945년 이후 즉 현대사의 28.1% 와 21.4%보다도 높은 수치이다(이해영, 「역사의식 조사 로 본 학생들의 역사 이해 양상과 특징」, 『역사와교 육』15, 역사교육연구소, 2017). 그러나 학생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은 교과서에 수록된 수많은 독립운동가와 독 립운동 단체 때문에 독립운동사 학습에 상당한 어 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배경에는 독립운동사 연구 가 진전되면서 새로운 내용이 교과서에 추가되어 교 과서 서술 요소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계사적 관점에서 일제 강점기를 이해하는 문제, 수탈과 저 항의 관점에서 일제 강점기를 파악하는 문제, 독립 운동 서술이 특정 계열에 편중되어 있고 시기별 독 립운동의 변화 양상을 서술하지 못한 문제, 일제 강 점기의 생활사 및 소수의 역사, 친일 문제 등에 대 한 소외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우지민, 「2015 개 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사』 교과서의 독립운동사 구성 방식 검토」, 『역사교육』156, 역사교육연구회, 2020). 이러한 사정 때문인지 2020년 9월 12일 역사교육 연구회는 「독립운동사,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학술회의에서 제 기된 문제점만을 지적하면 첫째, 군사적인 측면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지도 자료를 사용하고 있 으며 일제의 만행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에서 사용한 사진 자료들 중 잘못된 것이 있다는 점, 그리고 무장 독립운동의 당위성을 희생을 전제로 한 행위 자체로 설정하였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과 서에서 세계사와 한국사가 소단원으로 분리됨에 따 라 세계사적 내용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사의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