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page
독립운동, 광복운동 · 민족해방운동으로도 불려 대한민국임시정부, 1920년 ‘독립전쟁’ 선포 대한인국민회 ‘임시정부론’, 박용만 ‘무형국가론’ 주장 독립군 독립전쟁, 한국광복군 활동으로 결실 이승만, 친미 외교독립노선 추구 임시대통령 탄핵돼 안창호 점진적 독립전쟁론 견지 미주지역의 대한인국민회에서 추진하던 임시정부 건설론은 1917년 ‘대동단결선언’을 거쳐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탄생으로 결 실을 맺었다. 1920년 만주 독립군은 ‘독립전쟁의 제1회전’을 승리로 장식했다. 임시정부의 독립전쟁론자들은 독립전쟁을 벌일 천재 일우의 기회로 판단했다. 대표적 실력양성론자로 분류되던 안창호 역시 1920년 1월 임시정부의 신년축하회 자리에서 전쟁을 역설했 다. 따라서 그는 ‘점진적 독립전쟁론자’로 분류할 수 있다. 이승만의 독립노선은 미국에 대한 기대와 신뢰에 기초한 것이었다. 이승만이 주장한 서구화의 핵심은 미국화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외 교의 주된 대상도 미국으로 설정되었다. 즉각적 독립은 불가능하다는 현실 인식을 가진 임시정부 대통령 이승만은 1923년 임시의정 원의 탄핵으로 결국 1925년 탄핵 면직되었다. Theme 1. 1910년 전후 미주 한인의 독립운동 방략과 임시정부 수립운동・김도훈 Theme 2.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전쟁 원년’ 선포의 배경과 의미・김경준 Theme 3. 이승만의 외교독립론과 외교독립운동 - 친미외교, 위임통치 청원 그리고 탄핵・이혜린 Theme 4. 안창호의 독립운동 방략과 실력양성론・장세윤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독립운동의 목표와 방법론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