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page
282page
반구대 암각화 탁본. 선사시대 사람들의 성스러운 바위
암각화란 선사 시대의 사람들이 생활 주변에서 일어난 갖가기 일들을 주제로 삼아 그것을 바위에 새겨서 그린 그림이다. 주로 커다란 바위 등 집단의 성스러운 장소에 그렸는데, 사람들은 그곳에 모여서 각종 의례를 거행했다고 추측된다.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태화강의 한 지류인 대곡천의 소위 '건너 각단'이라고 부르는 곳에 그려져 있으며, 그림이 집중된 곳의 바위면의 크기는 너비 10m 높이 3m이다. 그러나 그 좌우에서도 적지않은 형상들이 확인되고 있어 암각화가 새겨진 바위는 모두 10 여 개에 이른다.
이 암각화는 신석기 시대부터 여러 시기에 걸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시대별 양식의 차이를 살필 수 있는데, 표현 대상의 내부를 모두 쪼아낸 면쪼기(面刻, 모두쪼기) 기법과 윤곽만을 쪼아낸 선쪼기(線刻)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새겨진 물상은 크게 바다동물과 육지동물, 사람, 도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바다동물로는 고래,물개,거북등이, 육지동물로는 사슴,호랑이, 멧돼지, 개 등이 많이 보인다. 사람은 얼굴만 그려진 경우와 바로 선 모습, 옆으로 선 모습, 뱌에 탄 모습 등을 볼 수 있다. 도구로는 배, 울타리, 그물, 작살, 노(弩)와 비슷한 물건 등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