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page
Special theme • 한말 의병전쟁 연구의 현황과 과제 27 제(米綿交換體制)’라는 경제구조가 배경 이 되었다고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호 남지역 의병전쟁의 전개과정을 세밀하게 밝혔으며, 일제가 자행한 ‘남한대토벌작 전’의 실체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이 시기의 의병전쟁을 일 제의 구조적 침략에 저항한 민중적 민족 주의에 입각한 전민족적 항쟁이라고 규 정하였다. ③ 김순덕은 경기도 의병전쟁 의 참여층, 이념적 지향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기지방 의병전쟁의 성격은 민중 적 민족주의에 입각한 반침략 · 반봉건 투 쟁이라고 규정하였다. 의병의 사회적 성격에 주목한 연구로 먼저 ① 심철기의 연구가 있다. 그는 강원 도 원주지역을 분석하여 의병전쟁의 내 적역량의 연속성을 밝혔다. 즉, 원주지역 에서 지속적으로 의병전쟁이 이어졌던 것은 사회적 관계망 때문이었다고 보았 다. 그리고 이렇게 시작된 원주지역의 의 병운동은 대한제국의 식민지화가 진행되 던 1905년과 1907년에도 이어지게 되었 는데, 그 원동력은 원주지역의 내적 역량 이라고 보았다. ② 김헌주는 기존 의병운 동 연구의 한계지점을 성찰한다는 문제의식을 세우 고 의병운동 주체의 다양한 지향, 의병과 일본 군경 사이에서 갈등하는 조선인들, 의병운동을 둘러싼 담 론들, 의병운동의 와해 과정을 검토하였다. 또한 의 병판결을 통한 의병전쟁에 대한 김항기의 연구는 기 존의 의병연구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새로운 시 도로 볼 수 있다. 한말 의병전쟁 연구의 과제 의병연구는 해방 이후 꾸준히 이뤄졌고, 특히 1990년대 박사학위논문이 나오면서 2000년대 초반 까지 전성기를 이뤘다. 이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1906년 민종식 의병부대가 점령한 홍주성의 조양문 1910년대 홍주성 조양문(동문, 독립기념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