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page
30  향토  문화층서  @  돌마  마을지(下)  던 송파장과한성을 잇는 매우중 요한상업로였다.  김정호가 저술한 『 대동지지(大東地志퍼(1864)  「程里考」에는  10개의 간  선도로망이 강=개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성남시를 경유하는 r ‘동래로’  노  선은다음 과깜다.  京都- 漢江律(10, 郞西永庫律)-新院(20, 東敵陸五里)- 져 川뼈(lo, 古굽  穿呼川뼈 又j';. 達予內l뼈)  - 板橋店(10, 西北至松城律三十里) - 險Jl/(10, -j';.  遠千)I/)  - 〈龍仁)(20,  京八十里)---(석원-달천진-수회  조령-문경장주-대구-밀  양-동래부산진)  위 노선에서 월천현(경부고속도로 달래내 고께부터 험천까지가 성남  시 지역에 해당되는데, 이  구간에는 낙생역(樂生韓)이  설치되어  있었다.  돌마역(突馬購)으로  기재된 『여지도서(與地圖書)』(176o년경)에  따르면  낙생역에는말 5필과노비(如牌)4명이 배치되어  규모J} 적은편에  속했  다.  한글학회에서 발행한 『 한국지명총람』에는낙생역이  과거 돌마변수  내리에 속했던  분당구 수내동에  있었다고  하지만 광주부에는 대대로  낙  생면과 돌마면이 구분되어  있었으므로 돌마면에 있었던 떡을 낙생역으  로불렀을가뜰성은  적다.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 . 『신중동국여지숭람(新增  東國與地勝寶)JI(1531) . 『통국여지지(東國與地志)JI (1“0 년대) · 『도로고  (道路考) 』(1770) .  『만기요람(萬機要寶) 』  (1808) .  『대통지지(大東地志)』  (1864) 퉁 조선  전 · 후기의 자초로가 모두  낙생역으로 기재하고  있는데,  『여지도서』  에서만 돌마역으로 표기하고 있어서 , 『여지도서』 편찬  시기  에낙생역이  일시 이전했을가능성이나낙생역과별도로똘마역이 있었  을 가능성이  있지만  사실관계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옛 자도에 표시된  낙생역의위치또한각각의기록에따라차이를보이고있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大東與地圖b에  표시된 낙생역은 판교점 부근  양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