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page

Special Theme  「조선혁명선언」 100년! 새로운 사회 건설을 꿈꾸다 26 2023년 2월 ‘선언’은 조선혁명의 실행 주체를 어느 일 계급이  아닌 ‘민중’으로 제시한다. 좀 더 나아가, “민중이 주 체가 되어 민중 자기 자신을 위하여 하는 직접의 혁 명” 즉 ‘민중직접혁명’도 제창된다. ‘선언’에서 민중은  어떤 주의나 이념이 가르쳐준 관념적 범주가 아니 다. 살아 움직이는 실체로서 민족 자체였으며, 친일 주구 · 협력자만 빼고 민족성원 대부분을 포괄하는 용 어였다.  그런데 민중은 “일어서라!”고 누가 외치거나 지도 하면 그냥 일어서는 존재는 아니다. 허수아비나 자 동인형과 같지 않다는 얘기다. 스스로 깨닫고서 어 떤 결의가 설 때, 즉 자기만의 ‘각오’가 다져졌을 때  민중은 일어선다. 그렇게 만드는 것은 “선각한 민중 이 혁명적 선구가” 되어 “강도를 때려 없애고 강도의  일체 시설을 파괴”해가는 모습이다. 그것을 보고 들 은 민중에게 정서적 격동과 의식의 각성이 생겨나 고, 드디어는 봉기하여 ‘대혁명’의 길이 되는 ‘폭동’으 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여기서 ‘폭동’이란 오늘날처럼 부정적 의미로 쓰인  것이 아니다. 조선민중의 응축된 분노와 소망에서  크나큰 에너지를 얻어갈 일대 시위성의 집합행동을  뭉뚱그려 상징하는 말이다. 3 · 1운동처럼 민중이 직 접 나서면서 그 규모와 힘이 엄청나게 커지는 총봉 기를 다시금 대망해서이다. 그것을 이끌어내는 선구 자적 역할을 바로 의열단의 용맹단원들과 그들의 암 살파괴 거사가 담지해내는 것으로 드디어 자리매김  된다. “10만의 병사를 길러냄이 한 번 폭탄을 던져  터뜨림만 못하며, 1만 장의 신문 · 잡지가 일회의 폭동 만 못 할지니라”는 유명 문구는 이런 사고맥락과 관 점에서 나온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선언’은 혁명적 파괴의 대상이  일제 기관이나 시설물로 국한되지 않음을 일러준다.  식민제도 전반으로, 체제 자체로 대상을 넓혀 잡고  그 심장을 노릴 것이라고 명토 박는다. 그리하여 다 섯 가지 파괴 대상―이민족의 전제통치, 총독 이하  강도단의 특권계급, 강도의 살을 찌우는 경제약탈제 도, 강/약과 천/귀로 민중을 갈라놓는 사회적 불평 등, 그리고 강자만을 옹호하는 노예적 문화사상―이  적시된다. 5당파의 대상이 바뀌는 것이다. 그 파괴의   자리에 고유의 조선, 자유적 조선, 민중적 경제, 민중 적 사회, 민중적 문화가 연이어 건설되어 가리라는  것이다. 자각한 민중이 직접 주체로 나서고 일제 타도를  당면목표로 하는 폭력혁명, 그러니까 민중적 민족혁 명의 추동이 ‘선언’에서 개진되는 조선혁명론의 일차 적 논지였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일제의 강도정치를 폐절시킴과 아울러 일체의 봉건 적 질곡으로부터의 해방도 기하는 사회혁명이 이어 서 올 것이다. 그렇게 ‘신조선’이 건설되고 ‘이상적 조 선’이 도래할 것이니, 그것이 바로 조선혁명의 최종  목표이고 궁극적인 전망을 이룬다. 이러한 논리연관  속에서 의열단의 반일 폭력투쟁은 민족혁명운동의  선봉에 서는 것이면서 사회혁명으로 나아갈 민중혁 명의 촉발제로 재인식되고 새로이 평가받는다. 따라 서 그 운동노선은 지극히 정당하고 충분히 이유 있 다는 결론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조선혁명선언」의 발포 효과와 정신사적 계승 완성되어 나온 ‘선언’은 즉시 인쇄되어 국민대표 회의 참석자들에게 우선 배포되었다. 이어서 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