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page

Special Theme   광복 제78주년 특집 일제 말기 상황과 국내외 한국인의 대응  24 2023년 8월 면에서 가장 좋은 시기였다. 추축국 대 반추축국(연 합국)의 파시즘전쟁이 진행되는 상황, 특히 제1차 세 계대전 때와는 달리 일본이 추축국의 중심에 나서서 영 · 미 · 소와 맞서고 있던 상황에서 전쟁의 결과, 즉 그 승패 여부에 따라 조선의 운명이 바뀔 수 있는 시 기였다. 일제 당국의 선전대로 일본이 연승을 거듭 하고 있어서 결국 승전(勝戰)으로 ‘대동아공영권’을 완성할 것이라고 보는 측에서는 친일 협력의 강도를 높여갔지만, 이러한 허구적인 여론공작을 믿지 않는 측에서는 일제 패망과 조선 독립을 확신하면서 그 준비에 매진하였다. 전쟁이 장기화되어 가면서 ‘일제 패망’의 가능성은 점차 현실성으로 변해 갔다. 조선 인의 입장에서 보면, ‘제국 일본의 패망’은 곧 ‘식민지 조선의 독립과 해방’을 의미했다. 요컨대 이 시기는 한편으로는 일제의 극단적인 침 략전쟁과 강압적인 인적·물적 동원이 가중된 암흑의 시기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민족에게 독립과 신국가 건설의 가능성을 현실화시킨 희망의 시기였 다. 문제는 유리한 객관적 조건 아래서 주체적인 노 력을 어떻게 기울일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전제로 하여 이 시기 일제 당국의 지배 정책 과 이에 저항한 국내 조선인의 노력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총력전 체제’로의 전환과 민족말살정책 1937년 7월 7일 중일전쟁의 개시를 계기로 일제 는 식민지 조선을 전시 총동원체제로 전환해갔다. 이른바 ‘총력전’을 기치로 내걸고서 1938년 국가총 동원법 발동을 계기로 위로부터 강력한 전시파시즘 을 구축해가기 시작했다. ‘총력전 체제’란 전쟁의 수 행을 위해 국민의 생활 · 문화 · 사상 전체를 통제함으 로써 인적 · 물적 · 정신적 총동원을 이루려는 체제를 말한다. 1936년 신임 총독으로 미나미 지로(南次郎) 가 부임하면서 기존의 ‘내선융화’ 단계를 ‘내선일체’ 단계로 전환한다고 표방하고 적극적인 동화정책, 황 국신민화 정책, 즉 민족말살정책을 추진하는 단계로 전환했는데, 이는 조선에서 강력한 총동원 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준비의 일환이었다. 일제는 조선 주둔 군사력과 경찰력을 대폭 증강 하는 한편, 조선사상범보호관찰령, 조선사상범예방 일제 말기의 일본어 교육 장면 조소앙이 기초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 강령 초안」(1941년   11월, 문화재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