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page

도쿄 2 · 8독립운동, 3 · 1운동 학생들 앞장 3 · 1운동, 6 · 10만세운동과 11 · 3(광주)학생운동으로 계승 1920년대 학생운동 역량 성장 동맹휴학 등 단행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 전국 확산 국외 파급, 새로운 민족운동 1943년 5월 대구상업학교 태극단 결성 일제 항쟁 등 강령 제정 쿠바에서도 광주학생독립운동 지지대회, 특별후원금도 보내 11 · 3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 3일 전남 광주에서의 시위를 시작으로 1930년 3월까지 전국적으로 전개된 학생 독립운동을 말한 다. 흔히 광주학생운동으로 불린다. 11 · 3학생독립운동은 학생이 중심이 된 3 · 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이며, 1920년대 학생운동 과 민족운동 역량의 총결산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11 · 3학생독립운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후 1930년대 노동, 농 민운동과 국외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이는 11 · 3학생독립운동이 1930년대 민족운동의 연결고리로 역할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미주지역 발행 『신한민보』를 통해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소식을 접한 쿠바에서도 광주학생들을 지지하는 대회를 개최하고 이를  후원하는 모금운동을 했다. 대한인국민회북미총회 쿠바지방회 3개 지역(마탄자스 · 카르데나 · 스마나티)에서 100여 명이 참여하여 광 주학생독립운동을 지지하는 지지대회를 개최하고 후원금 100여 달러를 모금했다.     Theme 1. 학생, 3 · 1운동으로 역사에 등장하다・김정인 Theme 2. 11 · 3학생독립운동의 전개와 의의・김성민 Theme 3. 1940년대 대구 태극단의 학생독립운동・서보현 Theme 4. 쿠바에서도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지지하고 특별후원금을 모금・김재기 11 · 3(광주)학생독립운동 제95주년 특집 ‘11 · 3(광주)학생독립운동을 다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