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page

Special theme • 한말 의병전쟁 연구의 현황과 과제 23 의병연구는 해방 이후 꾸준히 이 뤄졌고, 특히 1990년대 박사학위 논문이 나오면서 2000년대 초반 까지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는 새 로운 자료의 발굴과 이를 토대로  발간된 자료집 등이 큰 역할을 했 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의병자 료에 대한 새로운 발굴이 부족하 고, 연구자들의 관심이 줄어들면 서 위축되기 시작했다. 의병연구 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연구범위를  확장하고 의병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의병전쟁이 일어나게 된  구조적 문제, 의병뿐만 아니라 여 러 분야에서 활동한 경계를 넘나 들던 주체들, 의병전쟁 이후 과정  등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한말 의병전쟁의 역사적 의의 한말 의병전쟁은 의병장 중심의 시각에서는 일제의 침략에 무력으로 대응한 가장 적극적인 반제국주의 운동이다. 하지만 의병부대의 조직, 참여계층 등을 중심으로 한 시각에서 보면 조선 사회 내부 모순에 대한 저항운동에서부터 출발하여 반제국주의 운동으로 전화된 반봉건·반제 국주의적인 근대민족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말 의병전 쟁은 지역사회에서 반봉건의 문제가 어떻게 반제국주의의 문제와 융 합되어 표출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나아가 근대민족국가 건 설이라는 목표가 일제의 침략에 대응하여 나타난 민족운동의 방향이 자 한국사회 내부에서 축적된 운동역량이 표출된 것이라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1896년 의병운동을 시작으로 1907년 의병전쟁까지 이어 졌던 의병전쟁의 단계적 발전을 통해 근대 이후 한국사회의 내재된 운 동역량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다음의 몇 가지가 주목된 다. 첫째, 의병전쟁은 봉건질서와 근대사회의 충돌 속에서 일본제국주 의의 침략에 대항해 수많은 일반민들이 스스로 일어난 저항운동이다. 자발적인 저항운동은 일제식민지배하에서 3 · 1운동, 6 · 10만세운동, 광 주학생운동 등으로 이어져 왔으며, 해방 이후에는 민주화운동으로 표 출되었다. 즉, 1896년 의병운동, 1905년 의병항쟁, 1907년 의병전쟁으 로 이어지는 의병전쟁의 단계적 발전을 살펴보는 것은 근대 이후 한국 사회에 내재된 운동역량을 이해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다. 둘째, 의병전쟁을 통해 억압적 지배세력에 대한 저항운동이 외세에 대한 무장투쟁으로 전환되고 독립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저항운동의 역량이 확대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이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 운동역량이 강화되고 확대되는 계기적 분석이 가능하고 저항의식이 강화되는 기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한국사회 내부의 변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지역과 저항운동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지역의 다양한 조건 들, 예컨대 사상적 전통, 지역의 위상, 인적 구성, 경제적 배경 등이 의 병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지역적 역학관계가 운동의 지속성, 단계 별 연속성 등에 미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지역성, 지역의 전통 박은식이 1915년 중국 상하이에서 간행 한 『한국통사(韓國痛史)』(한국학중앙연 구원 제공). 대한제국의 멸망과정과 의병 전쟁을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