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윌슨 ‘민족자결주의’ 등 14개조 전후처리방침 제시 유학생과 식민지 조선 대표들 능동적으로 기회 포착 도쿄 유학생들 1919년 2월 8일 독립선언 3 · 1운동 전개와 확산에 큰 영향 향후 치열한 재일조선인 민족운동 지속 박경식, 『재일조선인운동사연구』 등 선구적 업적 미국 대통령 윌슨은 1918년 1월 8일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제1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방침으로 ‘14개조’를 제시했다. ‘14개조’ 제의 중 5조의 내용이 ‘민족자결주의’라고 통칭되었다. 이후 일본과 미국, 중국 상하이와 국내에서 파리강화회의 대표파견과 2 · 8독립 선언, 3 · 1운동이 이어졌다. 그것은 한국인 등 식민지 민족들이 제국주의 국가들의 전후질서 논리를 전취하여 스스로 세상을 변화시킬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식민지 조선의 대표들은 ‘완전하고 투철한 민족자결주의의 실제적 승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식민지시기 대표적 항일투쟁이자 비폭력 평화운동으로 세계 역사에 영향을 미친 투쟁은 3 · 1운동이지만, 3 · 1운동의 기폭제는 2 · 8독 립선언이었다. ‘2 · 8 독립운동’이라고도 한다. 2 · 8 독립운동은 재일조선인운동사 속에서 독자적인 내용을 갖고 전개한 항일투쟁이었 다. 2 · 8독립운동 주체가 지향한 이념과 활동은 향후 재일조선인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Theme 1. 1910년대 국제정세와 2 · 8독립선언・최우석 Theme 2. 일제의 감시망을 뚫고 결행된 도쿄 2 · 8학생독립운동・윤소영 Theme 3.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분기점, 2 · 8독립선언・정혜경 Theme 4. 재일조선인 민족운동과 2 · 8독립운동 - 박경식의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김인덕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2 · 8독립선언을 다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