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page

20 빛낸 분은 효(孝)자를 사용하게 된다.(예시 - 충무공(忠武公) 이순신, 문순공(文純公) 퇴계, 효정공(孝靖公) 이정간, 충렬공(忠烈公) 김방경 등.) 4. 향년수(享年壽) : 사람의 한 생애를 표기하는 용어 중의 하나로써 70세(歲)가 되기 전에 돌아가시면 향년(享年)으로, 70세가 넘게 사신 분은 수(壽)로 표기하였다.(예 시 - 향년 67세, 수 83세) 5. 봉군(封君) : 조선왕조 때 왕자(王子)나 왕비(王妃)의 친정아버지 정2품 이상의 공신 (功臣)에게 주어진 칭호. 일반 공신(功臣)에게는 성씨 본관의 앞 글자를 넣어 작명하 는 것이 통례임.(예시 - 양녕대군, 대원군, 전창군(全州人)) 6. 향(向) : 묘소(墓所)의 시신의 누운 위치를 표기한 것이다.(예시 오좌(午坐 - 정남), 묘좌(卯坐 - 동향), 간좌(艮坐 - 동북), 곤좌(坤坐 - 남서), 손좌(巽坐 - 동남), 건좌(乾 坐 - 북서)) 7. 관직(官職) : 왕조시대는 계급사회이므로 나라로부터 위임받은 일정한 직무나 직위 를 표기. (관직 해설 별도 참조) 8. 배(配) : 배우자(配偶者)가 생존해 있으면 실(室), 돌아가셨으면 配(배)로 표기하는 문중도 있으나 통상은 배(配)로 표기하는 문중이 많다. 9. 서(婿 ) : 과거 족보에는 딸의 이름 대신 사위를 표기했다. 서(壻)로 표기하기도 하며 딸의 이름을 기재하는 것이 상례였으나 오늘의 경우는 딸을 아들(子) 딸(女)로 표기 하고 출가한 경우에는 사위를 딸의 부(夫)로 표기하고 있다. 10. 석물(石物) : 묘소에 축조한 돌로 된 구조물. ⓵ 상석(床石) : 묘소에서 제사를 올릴 때 제물(祭物)을 올려놓기 위해 만든 돌 상(床). ⓶ 묘비(墓碑) : 고인(故人)의 행적(行績)을 기록하여 묘소 앞에 세운 비석(碑石). ⓷ 망주석(望柱石) : 묘소 앞 양쪽에 세운 한 쌍의 돌기둥으로서 받침대 위에 팔각 의 기둥을 세우고 맨 위에는 머리가 얹혀 있다. 망두석(望頭石), 망주석표, 화표 주(華表柱)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망부석(望夫石)과는 다름. 망주석(望柱石)은 고인의 평안한 영면을 바란다는 의미와 함께 묘소의 대문이라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