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page

만나고 싶었습니다 • 반병률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19 “한 인물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역사적 사실에 기 초해서 면밀하게 따져야 해요. ‘의혹’이라는 식으로 애매하게 이야기하면 안되죠. 홍범도 장군이 그 당 시 그 지역에 있었던 것은 맞지만. 어떠한 영향력도 끼친 적도 없고, 그럴 만한 위치에 있지도 않았습니 다.” “1921년 사건이 벌어졌던 자유시는 원동공화국 (일명 극동공화국)에 있었습니다. 러시아혁명의 와 중인 내전 때 소비에트러시아가 일본과의 충돌을 방 지하기 위한 완충장치로서 잠시 만들어진 과도기적 인 국가였죠. 이곳에는 해외 독립운동의 양대 세력 인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 계열이 당시 자유시에 집 결한 독립군에 대한 주도권을 둘러싸고 각축하고 있 었는데, 처음에는 상해파가 지휘권을 갖고 있었지 요. 하지만, 러시아 볼셰비키(혁명파) 간부들의 결정 으로 권한이 넘어가면서 이르쿠츠크파가 상해파에 게 무장해제를 요구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당시 상해파 중심으로 통합되었던 한인 독립군들은 무장 해제 요구에 따를 수밖에 없었습니다. 러시아라는 남의 영토에서 ‘손님’으로 지내고 있는 처지였기 때 문이죠.” 또 국방부는 홍범도 장군이 “봉오동과 청산리전투 에도 빨치산으로서 참가했다는 의혹”이 있다고도 했 다. 이에 대해 반교수는 참으로 안타깝다는 표정으 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것은 정말 초보적 내용이죠. ‘빨치산’은 어원이 러시아어 ‘파르티잔(partizan)’으로, ‘비정규군’ 그러 니까 정부군이 아닌 군대, 자발적으로 일어난 의병, 의용병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홍장군이 자신을 ‘빨치 산’이라고 표현한 것은 ‘의병’이라고 평소에 표현한 것을 그대로 적은 것이라고 봐야 해요. 이것을 마치 나중에 김일성이 했던 ‘항일빨치산’인 것처럼 공산 당 관련 개념으로 몰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봐요. 홍범도 장군이 빨치산으로 활동했다고 적은 기간은 1919~1922년인데, 당시 김일성은 만 7~10세에 불 과했지요.” 국방부는 “1922년 레닌으로부터 권총, 상금, 친필 서명된 ‘조선군대장’ 증명서를 접수하였으며, 1927년 에는 소련공산당에 입당하는 등은 분명한 역사적 사 실임. 따라서 (중략) 소련공산당 활동에 동조한 사실 들에 대해서는 달리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봄. 더욱이 (중략) 공산주의 이력이 있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육사에 설치하여 기념하는 것은 육사의 정체 성을 고려시 적절하지 않음”이라고 하여 소련공산당 입당 사실을 김일성의 6 · 25전쟁 자행과도 연결시켜 홍장군 흉상 육사 설치의 부당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는 당시 실상과 국제정세 등에 부합하지 않는 ‘견 강부회’라는 비판이 거세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반교수는 ‘빨갱이’ 프레임을 씌우는 것 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홍범도 장군이 소련공산당에 가입한 때가 1927 년, 만 59세 때입니다. 60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 기 때문이지요. 당시 홍장군은 연해주지역의 콜호즈 (집단농장)를 몇차례 옮겨다니며 떠돌고 있었는데, 공산당 당적(黨籍)이 있으면 그나마 생활상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야말로 ‘생활형(생계형) 당원’이었죠. 더욱이 당시 소련공산당은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그런 무시무시한 공산당이 아니었습니다. 사회주의혁명 와중에 급진적 이념을 내세우던 비합 법적인 전위 정당이 아니라, 이미 소련(소비에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