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page


17page

제주4.3은 1948년에 일어난 무장봉기가 발단이 되어 그에 대한 무력진압 과정에서 약 3만명의 도민이 희생된 비극이다. 무장봉기는 당시 군정이 실시하려 했던 '남조선 단독선거' 즉 남북분단을 반대해 들고일어난 것으로 도민들에 대한 경찰과 우익단체들의 횡포가 그 바탕에 있었다. 1947년의 3.1독립운동 기념일에 경찰발포로 6명이 희생된 "3.1절사건" 이후 미군정에 대한 도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미군정은 경찰 수를 늘려 파견함과 동시에 조선북부출신의 서북청년회와 같은 우익집단을 투입해 도민의 항의 행동을 봉쇄하려고 했다. 제주도에서는 우익과 경찰들에 의한 가혹한 테러나 고문이 횡행하면서 이에 대한 반격과 자위 차원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났다. 주로 남조선노동당원으로 구성된 봉기세력의 규모는 350명정도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 소규모 항의 행동에 대한 군.경찰의 탄압은 남북에 각기 정권이 수립(대한민국 8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월)되고 여수.순천에서의 "군인반란(10월)" 사건등을 거치면서 "초토화 작전'이라 불리는 처참한 학살극으로 발전했다. 1949년 중순까지 중산간 마을들이 거의 불타 없어지고 무장대와 그 관계자는 물론 무장봉기와 무관한 엄청난 규모의 도민들이 학살당했다.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한때 수습될 기미가 보였던 학살이 재연되어 대구나 목포 등 외지 형무소에 수감된 이들과 요시찰 인물로 경찰의 감시하에서 "예비검속"된 도민들의 대부분이 집단 학살되었다.
17page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한때 수습될 기미가 보였던 학살이 재연되어 대구나 목포 등 외지 형무소에 수감된 이들과 요시찰 인물로 경찰의 감시하에서 "예비검속"된 도민들의 대부분이 집단 학살되었다. 6.25전쟁이 끝나고 1954년의 한라산 금족령 해제를 거쳐 최후의 무장대가 체포된 것이 1957년이다. 그 동안 제주도의 인구 28만명 중 3만 명이 희생되었는데 그 80%이상은 군과 경찰 토벌대에 의한 것이었다. 제주4.3의 비극과 일본과의 관계는 대단히 깊다. 식민지 강점기부터 수많은 제주도민이 오사카로 건너와 제주도와 오사카는 도민의 생활권으로 묶여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토벌대 군과 경찰은 거의 식민지강점기의 지배기구에 뿌리를 두고 있는 반면, 무장대는 항일운동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었다. 게다가 4.3을 전후한 혼란기에 수많은 제주도민이 목숨을 걸어 일본으로 건너와 그 후의 재일동포사회의 한 축을 이루게 된다. 제주4.3의 진상규명이나 명예회복은 이러한 역사와 뗄래야 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