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page


125page

공산호국공원
125page

10월 항쟁 발상지
125page

이곳 대구역 일대는 1946년 10월 1일 「10월 항쟁」이 시작된 역사의 현장이다. 10월항쟁은 해방과 함께 개혁되어야 할 일제강점기의 정치. 경제. 사회 구조가 미군정에 의해 유지되는 것에 반대한 대중들의 대규모 항쟁이다. 1946년 대구에서 9월 총파업이 전개되는 가운데, 10월 1일 대구부청(현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에서 "쌀을 달라!", "배고파서 못살겠다!"라고 외치며 여성이 다수를 이룬 시민 1천여명의 시위가 펼쳐졌댜. 이어 대구역 일대에서 9월 총파업에 참여했던 수천 명의 노동자와 시민이 무장한 경찰과 대치하던 중 경찰의 발포로 사망 1명, 부상자 1명의 희생이 발생하였다. 10월 2일, 분노한 학생과 시민들이 숨진 노동자의 시신을 메고 대구경찰서(현 대구 중부경찰서) 앞에서 시위를 벌였댜. 이때 대구역 일대에서는 노동자와 시민이 경찰과 대치하며 시위를 벌였댜. 시위대가 "경찰의 난폭한 발포를 제지하자!","경찰의 발포 중지 및 무장 해제", "애국사장자 석방"들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결찰의 발포로 수십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어 시위대의 대응으로 시위가 항쟁으로 번지자 미군정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장갑자와 기관총 부대를 동원해 진압에 나섰다. 하지만 항쟁은 12월 중순까지 발생하였다.
125page

대구·경북 등 전국 73개 시·군에서 230만 명이 참여한 해방 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항쟁으로 발전하였다. 미군정의 경찰은 시위자를 폭도로 규정해 강경한 검거 선풍을 불러일으켰다. 그 뒤 한국전쟁 전후에도10월 항쟁 관련자라는 이유로 국가에 의해 대구형무소 재소자·국민보도연맹원·일반 시민 등은 정당한 재판 없이 대구 가창, 칠곡 신동재, 경산 코발트광산을 비롯한 수십 곳에서 불법적으로 집단 학살당하였다. 2010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대구 10월사건 관련 민간인 희생 사건 진실규명 결정서」에서 민간인 희생에 대한 국가책임을 인정하고, 국가의 유족에 대한 사과, 위령 추모 사업 지원을 권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