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page
순국 역사기행 ➋ • 한국통감과 조선총독의 일본 현장을 가다 ② 125 토는 바로 헌법 제정에 착수하여 1889년 2월 11일 천황이 헌법을 발표하였다. 이 헌법은 제2차 세 계대전이 끝난 1947년에 폐지되 었고, 이른바 ‘평화헌법’으로 대치 되었다. 이토는 대일본제국의 초 석을 깔았던 인물로 일본에서의 그에 대한 존경심은 매우 크다. 선전포고 없는 불법의 청일전쟁 묵인 일본에서는 불세출의 영웅인 이토 히로부미가 인접국에서는 침략 원흉이다. 그의 2차 내각 시 기인 주목할 만한 사건인 청일전 쟁이 일어났다. 청일전쟁은 선전 포고 없이 불법으로 서해 풍도(風 島, 경기도 안산시)에서 일본 해군 순양함 지휘관인 도고 헤이하치 로[東鄕平八郞, 1848~1934]의 선 제공격으로 시작되었다. 청군이 승선한 영국 선박 고승호(高升號) 를 침몰시킨 것이다. 당시 총리대 신 이토는 그 보고를 받고 묵인하 였다. 이름이 청일전쟁이지 전장 의 대부분은 한반도였다. 한반도는 쑥대밭이 되고 전쟁의 열매는 일 본이 다 따먹었다. 1895년 4월 17 일에 조인된 시모노세키조약으로 일본은 요동반도(遼東半島), 타이 완, 팽호도(澎湖島)와 배상금 3억 엔[円]을 챙겼다. 이토는 불법 전 쟁의 최종 결재자였다. ➎ ➐ ➎ 즉시 조선 출병을 주장한 사쓰마번(薩摩藩, 가고시마현)의 대표적 정한론자 사이고 다카모리의 동상(가고시마) ➏ 도쿄 우에노공원에 있는 사이고 다카모리 동상을 알리는 기념엽서(이상 필자 제공) ➐ 1894년 8월 일본인 고바야시 기요치카가 묘사한 풍도 해전 그림(위키백과 제공) ➑ 1963년부터 1984년도까지 일본 1,000엔권 지폐에 실린 이토 히로부미 초상(나무위키 제공) ➏ 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