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page
120 2023년 4월 순국 Inside 길 따라 얼 따라 자랑스런 우리 것들 명동촌 전체가 독립운동기지로 서 항일 민족운동의 의지가 얼마 나 강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제4유형은 중앙에 오른쪽으 로 회오리치는 삼태극을 배치하 고 이를 연주문으로 감싼 후 그 바깥쪽 좌우에 5엽 꽃문양을 새 긴 ‘중앙 삼태극 좌우 대칭 꽃문 양 형’이다. 연주문 바깥 위쪽에 는 좌우로 원을 그린 흔적이 있 고, 그 중간과 주변으로 선 문양 과 점을 찍었으나 선명하지 않 다. 좌우의 꽃문양은 대칭의 미 를 살린 것이다. 제5유형은 가운데에 5엽의 큰 꽃문양 넣고, 좌우에 삼태극을 대칭으로 새기고 나머지 여백에 꽃가지를 그린 ‘중앙 5엽 꽃문양 좌우 대칭 삼태극형’이다. 가운 데 5엽 꽃문양은 요철을 두어 입 체감을 강조하였다. 꽃잎에 꽃술 혹은 잎줄기 표시를 강하게 새겨 이화문(李花文)처럼 보인다. 큰 화심과 꽃잎 모양을 보면 무궁화 에 가깝다. 바깥쪽 여백에 꽃가 지를 새겨 가운데 꽃문양을 에워 싸면서 받치듯 그려 꽃받침 혹은 월계관을 표현하였다. 제6유형은 ‘5엽 꽃문양 형’으 로 가운데에 5엽의 꽃문양을 입 체적으로 시문하고, 화심을 크게 표현한 형태이다. 각 꽃잎에 꽃 술 혹은 잎줄기를 강하게 표 기하 고, 꽃문양 바깥쪽으로 이중선을 둘러 그림자 효과를 두어 입체감 을 강조하였다. 이 형태는 외형 상 이화문과 많이 닮았다. 이 막 새기와를 이은 학교 건물 사진이 있는데, 박송학이 소학교 2학년 때인 1943년에 찍은 것이다. 몸소 체험하고 경험하는 과정에 서 민족의식 고양돼 1943년은 명동학교 역시 ‘위 (僞) 만주국(일제의 괴뢰국가 만 주국)’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 어 항일 민족교육이 아닌 일본식 교육을 했다고 박송학은 자서전 에 적고 있다. “우리가 입학해서 부터는 조선어 과목을 폐지하였 다. (중략). 3학년 때는 일본 황군 (皇軍)이 고무가 많이 생산되는 인도네시아를 점령하였다 하며 우리들께 고무뽈도 주었다. 그리 고 교실문으로 들어가는 문 밑에 명동촌 막새기와(태극기 · 무궁화 · 십자가 혼합형) 명동학교 꽃문양 막새기와 모음 <제5유형> 중앙 5엽 꽃문양 좌우 대칭 삼태극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