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page

118 2023년 7월 순국 Inside  길 따라 얼 따라 자랑스런 우리 것들 름을 지어주어야 오래 산다고 하 여 모두 이렇게 했다. 고만녜가 신 묵이 된 것은 교회의 덕이었다. 명동학교가 개교한 이듬해 정 재면(鄭載冕, 1882~1962) 선생이 부임하면서 명동학교는 미션스쿨 이 되었고, 명동촌은 기독교 신앙 마을로 변했다. 여자들은 학교에 들어갈 때까지도 누구네 몇째 딸 이었고 이름이 없었다. 누구네 둘 째 딸, 와룡댁 등으로 출석을 부를 수는 없었기에 정재면 선생이 정 식 이름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신 (信) 자를 넣어서 이름을 제대로 짓자는 것이었다. 신 자를 쓴 것은 하느님 앞에서 모두 한 가족, 한 자녀라는 뜻에서 같은 항렬 돌림 자로 쓰자고 하여 신 자를 넣어 이 름을 지었다. 이때 김신묵 여사는 오빠의 묵(黙) 자를 따서 신묵이 라 하게 되었고, 신태, 신희 등 며 칠 사이 명동촌에는 신자 돌림 젊 은 여성이 50여 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나물 캐고, 나무하는 아이들 여자아이들은 대여섯 살 정도 만 되어도 봄이면 나물을 캐러 다 녀야 했다. 산나물은 함경도보다 풍부하고, 가짓수도 많았다고 한 다. 특히, 흉년에는 나무뿌리를 캐 어 양식으로 삼기도 하였다. 또한 이때부터 삼 삼는 일을 하였다. 남 자아이들은 산에 가서 땔나무를 해오는 것이 일이었다. 물론 농사 일도 도와야 했다. 또한, 소나무 껍질을 벗겨 송기 떡을 만들어 먹었다. 소나무 껍질 을 벗겨 잿물에 삶아서 개천에 가 서 두드려 씻어 찌꺼기를 흘려보 내고 남은 까만 진액을 수숫가루 에 섞어 떡을 해 먹었는데, 이것을 ‘송기떡’이라고 했다. 조선의 대표 적인 구황음식 중의 하나이다. 이 외에도 쑥을 넣고 보리 잣죽 을 끓여 먹고, 방아를 찧고 남은 겨를 채로 쳐서 죽과 밥에 섞어 먹 기도 하였다. 벼를 찧을 때 현미 상태를 한 번 더 벗긴 쌀겨를 나박 기라고 하는데, 이것을 먹기도 하 였다. 길쌈하는 어머니의 캘린더 명동촌 개척자들은 고향 함경 도에서 하던 일들을 그대로 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쪽에서는 면화 를 재배할 수 없으니 삼베를 많이 했다. 함경도에서는 삼을 삼을 때 삼의 껍질을 벗기고 그 속청으로 베를 짜기 때문에 올이 가늘고 색 깔이 예뻤다. 함경도 여성들이 베 짜기를 잘했기에 이곳에서 나오 는 베를 북포(北布)라고 하여 그 이름이 높았다. 삼을 쪄서 익히고 베를 짜는 일 은 1년 내내 계속되는 일이다. 김 윤동주 생가 입구(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명동촌). 2012년에 세 워진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 윤동주 생가’ 표지석에 윤동주를 ‘조선족 시인’으로  표기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