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page

순국 역사기행 • 서울, 독립운동과 역사의 현장을 가다 ⑯ 117 동의 주역 최현숙(1904-1984), 한국광복군의 안춘생(1912- 2011) 등 여러 독립운동가의 숨 결이 남아 있다. 인근 경남아파 트는 1920년대 대한광복군사 령부(사령관 이탁) 제2영 제1대 대 대장 등으로 활동했던 한철수 (1900-1988)가 서거한 곳이다.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은 서 초구 양재동 매헌시민의숲 안에 있다.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역 시 윤봉길의사기념관이 윤봉길 (1908-1932)의 고향인 충남 예산 에 이미 있음에도 윤봉길 의사의 독립정신을 보다 널리 알리고자 1988년에 서울에 추가로 설립하 였다. 윤봉길 의사는 널리 알려져 있 듯이 김구의 한인애국단에 가입 하여 1932년 4월 29일 일제의 천 장절 겸 전승축하기념식이 진행 되는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폭 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벌인 인물 이다. 이 의거로 일본군의 상하이 파견군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 [白川義則], 상하이 일본거류민단 장 가와바타 데이지[河端貞次] 등 이 사망했고, 제3함대사령관 노 무라[野村吉三郎] 중장, 제9사단 장 우에다[植田謙吉] 중장, 주중공 사 시게미쓰[重光葵] 등이 중상을 입었다. 윤봉길 의사의 홍커우 공 원 의거는 한인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이 바꾸는 결정적 계기가 되 었고, 이후 중국국민당과 장제스 (蔣介石) 정부는 한국의 독립운동 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였다. 서울 동작구에서 동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을 맡아 지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현충원 역사탐방을 비롯하여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근 현 대 역사탐방을 이끌고 있고, 「오마이뉴스」에 ‘동작 민주올레’를 연재하고 있다. 저서로 『현충원 역사산책』, 『동작구 근현대 역사산책』, 『낭만과 전설의 동작구』, 『동 작 민주올레』 등이 있다. 필자 김학규 ➏ ➐ ➑ ➒ ➏  김창숙이 파리장서로 미투리를 만들어 신고 중국으로 망명한 이야기를 소개한 심산김창숙기념관의 전시물  ➐  심산김창숙기념관 입구의 김창숙선생 상  ➑  윤봉길의사 동상(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➒  기념관 입구에 있는 ‘천추의열 윤봉길 의사 숭모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