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page

116 2024년 10월 순국 Inside  길 따라 얼 따라 순국 역사기행 날 수 있도록 배치해놓아 주민들 의 자긍심을 높이고 있는 점이 돋 보인다. 아쉬운 점도 있다. 상일리 만세운동을 이끈 사람들을 소개 하면서 광주군 동부면(현 하남시) 에서 시위를 벌이다 체포된 이대 헌(교산리)·김교영(망월리)·김홍렬 (풍산리)을 상일리 만세운동을 이 끈 사람으로 잘못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상일초등학교 상일초등학교는 상일리 만세운 동이 일어났던 자리에 1921년 세 워진 학교이다. 상일초등학교 동 문 벽에는 상일리 만세운동을 포 함하여 상일초교 100년의 역사가 한동안 전시되어 있었는데, 상일 리 만세광장이 세워진 이후 지금 은 철거되었다. 천호마을활력소 1층 강동마을 기록관에서는 ‘100년의 기억, 그 길에서 만난 강동’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2021년 10월에 한 달간 개최하면서 상일리 만세운동을 소개하기도 했다. 1931년의 인천 중국인 습격 사 건과 이용재 1931년 일본 관동군은 만주(중 국 동북지방)에서 만보산(萬寶山) 사건을 조작하여 한인과 중국인 간 분열을 조장하고, 이를 만주 침 략의 핑계로 삼고자 하였다. 만보 산 사건의 왜곡은 일제의 허위정 보에 기반한 조선일보 김이삼 특 파원의 보도(1931.7.2)로 시작되 었다. 이에 휩쓸린 조선인 중 일부 는 7월 4일부터 여러 날 동안 서 울과 인천, 평양을 중심으로 중국 인(화교)의 거주지와 상업지역을 습격하는 일까지 벌였다. 이 사건 으로 발생한 사상자는 349명(사 망자 122명, 부상자 227명)에 달 했다. 구천면 명일리(135번지) 출신 의 이용재(1900~?)도 일제의 공 작으로 형성된 이러한 분위기에 휩싸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931년 7월의 ‘인천 중국인 습격 사건’으로 구속되어 소요죄로 10 개월간 감옥살이까지 했다. 광주공산당협의회 사건과 구본흥 광주(廣州)공산당협의회 사건 은 경기도 광주(廣州) 일대에서 활 동하던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 ➍  상일리 만세광장에 설치된 안내판  ➎  상일리 만세운동의 주역들을 소개한 상일리 만세광장 ‘그날의 함성’ ➎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