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page

자랑스런 우리 것들 • 쌀의 문화혁명 115 塾)을 여는 등 독립운동 기지 건 설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이상설 이 헤이그 특사로 떠나는 1907 년 서전서숙이 문을 닫게 된다. 1899년 규암(圭巖) 김약연(金躍淵, 1868~1942)을 비롯한 4개 가문 이 건설한 명동촌(明東村)의 명동 학교(明東學校)가 근대교육 시스 템으로 항일 민족의식을 교육하면 서 명동촌이 북간도의 독립운동기 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독립운동기지는 곧 한인 의 자치가 가능한 곳이었다. 따라 서 독립운동기지와 한인의 집단 생활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었다. 이국땅에서 한인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것이 곧 독립운동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만주에서 한인 의 생활 안정은 중요했다. 서로 상 부상조하지 않으면 안 되는 관계 에 있었다는 말이다. 이름난 독립 운동가가 전략적으로 독립운동을 추진하도록 도운 이들이 바로 이 름 없는 한인이었다. 이들이 농사 지어 독립자금을 대었기에 이것이 경제적 토대가 되어 만주에서 독 립운동이 가장 활발할 수 있었다. 일부에서는 “일본 놈 보기 싫어 만주 왔더니 농사지어 놓으면 군 자금 한다고 다 뺏어간다.”, “고산 자 장터가 범 아가리다.”라는 불 평도 있었다. 한인 자치와 독립운 동 자금으로 사용할 세금이었지 만, 일반인들은 불만이 없지 않았 다는 이야기다. 그래도 그 세금으 로 독립운동을 하고, 자치활동을 하였기에 안전하게 살 수 있었을 것이다. 쌀이 주식인 한인의 벼농사 기술 개발과 전파 현재 북간도에 터를 잡은 조선 족은 “누가 뭐라 해도 쌀은 우리 민 족의 주식이다. 그래서 우리 민족 에게 벼(쌀)농사는 ‘천하지근본(天 下之根本)’이었으며 대대로 신앙 처럼 여기며 살아왔다.”라고 자신 있게 말한다. 비록 중국에서 조선 족으로 살고 있더라도 쌀을 주식 으로 하고 있고, 쌀을 먹지 않으면 안 되는 한민족이라는 이야기다. 현재 중국 동북지역에 사는 조 선족이 쌀을 주식으로 하고, 쌀농 사를 지은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 았다. 간도 지역에 벼농사가 보급 되는 배경에는 한인의 주식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 비록 중국으로 이주하였지만, 쌀을 주식으로 했 던 한인에게 중국의 강냉이밥, 수 수밥으로는 허기를 채울 수 없었 다. 식성에 따라 쌀을 찾을 수밖에 없었고, 조상 제사를 드리려면 반 드시 입쌀이 필요했다. 수 천리 되 는 조선에서 쌀을 공수할 수도 없 으니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밖에. 그것이 중국 동북 삼성 지역 쌀농 사의 시작이다. 벼농사를 처음 시작한 곳, 통화 기존의 연구나 기록에 따르면 중국 동북 지역에서 논농사가 처 음 시작된 곳은 통화(通化)였다.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요녕성(遼 寧省) 본계시(本溪市) 환인만족자 치현(桓仁滿族自治縣) 괴마자진 (拐磨子鎭) 와니전자촌(洼 泥甸子 村)이다. 1960년 대홍수로 마을을 언덕 위로 옮겼다. 2005년 필자 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500여 호 의 주민 중에 100호 430여 명이 조선족이었다. 와니전자촌은 원 래 상전자촌(上甸子村) 아래에 있 다고 하여 하전자촌(下甸子村)이 라고 하였다. 와니전자촌 마을 입구에는 동북 에서 수전이 가장 먼저 시작되었 다는 것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있 다. 비석 앞면에는 “동북수도제일 촌(東北水稻第一村)”이라 되어 있 고, 뒷면에는 “1875년 환인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