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page
명사 칼럼 • 북한정권 그 자체, 그리고 북한정권과의 협상에 관해 정확히 인식해야 11 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안전에 대 해서는 위험하지만 김정은정권의 비위에 맞는 정책들을 채택해 집행했다는 의심을 받기도 했 다. 원전 폐기가 그 사례들 가운데 하나로 지목 된다. 이렇게 말한다고 하여, 북한과의 대화와 협 상을 전면 끊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절대 로 아니다. 미국이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공’이라고 비칭하며 적대관계를 유지하던 때도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폴란드주재 미국대사와 폴란드주재 중공대사 사이에 한 달 에 한 차례 만나면서 대화 통로를 유지했다. 이 특수한 사례 말고도, 전쟁이 진행되던 상황에 서 적대국들이 대화 통로를 유지한 사례는 많 다. 인도적 지원은 북한정권이 받아들이겠다고 한다면 엄격한 모니터링이 보장된다는 조건 아 래 계속해서 베풀어야 한다. 북한정권 본질·북한정권과의 협상 연구는 지속돼야 북한정권의 본질과 북한정권과의 협상에 관 한 연구는 앞으로도 다각적이면서 심층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물론 그 목표는 대한민국의 안 전을 확보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면서 궁 극적으로 민주통일을 성취하는 데 있다. 다만 미신이나 다름없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추종 하는 가운데, 또는 북한정권이 핵무기를 개발 하고 확보한 현 상황을 북한정권의 자위 수단 이라고 옹호하는 가운데, 더 나아가 통일을 실 현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의 ‘해체’도 불가피 한 수순일 수 있다고 인식하면서 자신을 ‘통일 운동의 선구자’로 자고자대(自高自大)하는 가 운데, 그 틀 안에서 북한정권에 대한 비현실적 환상에서 출발한 대책 또는 정책은 배제되어야 한다. 김정은정권을 어떻게 상대해야 할 것인지는 대한민국의 사활이 걸린 중대한 과제이다. 곧 있을 미국 대통령선거 이후 대한민국이 김정은 정권에 관해 어떤 정책을 구사해야 할 것인지 여야 사이에, 그리고 한·미 사이에 진지하면서 도 심층적 협의가 있기를 기대한다. 동시에 자 유를 지키고 대한민국을 지키고자 목숨을 바친 수많은 순국자의 희생이 헛되지 않게 되기를 염원한다. 1943년 중국 심양에서 태어났다. 현재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임 중이다. 필자 김학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