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page

편집위원 컬럼 • ‘정전협정’ 70주년을 돌아보며 11 러나 양측의 이해관계가 크게 달랐다. ‘또 다른 전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이다. 전쟁을 1년 동안 치르고 있는 상태에서 휴전 협상은 유엔군측이나 공산군측 모두에게 불가 피한 선택이었다. 휴전을 반대한 한국도 단독 으로 전쟁을 수행할 수 없는 입장에서 미국이 나 유엔의 휴전정책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 미 국은 휴전에 의한 전쟁 종결에 만족할 수는 없 었지만 1차적으로 유엔의 깃발 아래 국제평화 를 파괴한 북한에 대한 군사적 응징으로 그 목 적을 달성했다고 평가하였다. 한반도의 평화통 일은 정전 후 정치회담을 통해 달성한다는 계 획으로 휴전을 추진했다. 휴전협정 제4조 제60항에 “휴전협정 발효 후 3개월 내에 개최하여 한반도로부터 모든 외 국군대의 철수 및 한국 문제의 평화적 해결 등 의 문제를 협의할 것을 건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정치회담은 휴전협정 발효 정전협정서 서명식(1953. 7. 27). 연합군측 대표 해리슨 중장과 공산군측 대표 남일 대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정전협정에 서명하고 있다. ➊ ➋ ➌ ➍ ➊ 첫 휴전회담 장소 개성 내봉장   ➋ 회담 초기 판문점   ➌  정전협정 조인 당시 판문점   ➍  최초 판문점에서 동쪽으로 약 800m  떨어진 현재의 판문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