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page


109page

금성산성 안내도 산성은 우리나라 성곽의 대표적인 형태로 산의 지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능선을 따라 축조한다. 평야를 앞에 둔 산에 자리잡는 것이 보통인데, 평지와는 달리 동떨어진 깊은 산속에 쌓기도 하였다. 호남3대 산성중의 하나인 금성산성은 연대봉, 시루봉, 노석봉, 철마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내성과 외성으로 성벽을 쌓았다. 1895년에 제작된 금성진도를 보면 내성에는 동헌, 대장청, 내아 등 관청 건물이 들어서 있었다. 산성의 축조시기는 고려 우왕 6년(1380) 『고려사절요』에 언급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적어도 고려 말 이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주변이 절벽이라는 접근이 어려운 지리적 특성 때문에 임진왜란 때는 의병의 거점이 되었으며,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 혈전이 벌어져 각종 시설이 불타고 동,서,남,북문의 터만 남아있다. 또한 한국전쟁 때에 성안에 있던 보국사가 불에 타 현재는 주춧돌만 확인되고 있다. 1995년부터 서문부터 허물어진 성곽에 대한 보수를 시작하였으며, 남문(보국문,충용문)과 북문을 복원하였다. 금성산성의 전체 성곽 길이는 7,345m으로 외성이 6,486m, 내성은 859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