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page

테마가 있는 독립운동사 ➋ • 미국 자동차 공업도시, 디트로이트에서의 한국 독립운동 103 3대 자동차 회사가 디트로이트에 본부를 두고 있었 기 때문이다. 디트로이트라고 하면 곧 자동차를 연 상시키고, 자동차는 미국의 산업을 대표하는 것이 었다. 또한 미국 흑인 음악의 산실인 모타운 레코드 (Motown Records)가 디트로이트의 별명이 되었 다. 1958년에 설립된 ‘모타운 레코드’는 자동차 산 업을 뜻하는 모터(Moter)와 흑인음악이 태어난 타운 (Town)을 합성한 것이다. 디트로이트 ‘모타운’에서 음악을 시작한 마이클 잭슨은 세계적인 팝스타가 되 었다. 전 세계를 대표하는 자동차 산지였던 디트로이트 는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값싸고 연료효율이 높은 일본제 자동차에 밀려, 지금은 조지아주 알라바마에 도 뒤지고 있다. 1972년 모타운 레코드의 본사도 로 스앤젤레스로 이전하면서 미국 대중음악계에 영향력 도 줄어들었다. 최근 전기자동차 산업이 활성화되면 서 디트로이트는 다시 경제가 되살아 나고 있다. 공업도시 디트로이트로 온 한인들 디트로이트는 오대호의 하나인 에리호(Lake Erie) 를 끼고 있어, 1800년대 초반부터 수륙교통이 발달 하여 전형적인 공업도시가 되었다. 이같은 이점 때 문에 많은 공장들이 들어서고, 일자리를 찾아오는 노동자들이 몰리게 되었다. 1890년에는 900개의 공 장이 들어서면서 미국을 대표하는 제조업 도시가 되 었다. 1917년 170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면서, 인 구도 100만명에 달하였다. 디트로이트의 자동차 산 업이 발전하면서 노동자들이 필요하게 되면서 인구 가 급증했던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비행 기 모터와 장갑차·트럭 등을 생산하였고, 제2차 세 계대전 때는 지프와 대포 등 군수물자를 생산하기도 했다. 미주의 한인들은 ‘디트로이트’를 영어가 들리는 그대로 ‘ᄯᅵ츄로잇·ᄯᅱ츄로잇·ᄯᅵ츄로잍’이라고 적었다. 공업도시인 디트로이트에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한 국인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 회 지방대회 보고서(1942년 1월  14일)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회  3·1절 축하식 순서(1942년 3월  1일, 이상 대한인국민회 자료) 대한인국민회 디트로이트지방회 설립 청원서(1941년 12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