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page
테마가 있는 독립운동사 ➋ • 우리민족의 선각자 서재필이 독립운동을 펼친 곳, 필라델피아 103 (2) 한국 기독교인의 종교적 자유를 보장하기 위 함(To insure the religious liberty of the Korea Christians) (3) 한국의 정치적 독립을 촉진하기 위함(To promote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Korea) (4) 보편적인 형제애의 대의를 확대하기 위함(To furthur the cause of universal brotherhood) 필라델피아 한국친우회의 임원은 회장 톰킨스 목 사, 부회장 오하이오주 오버린대학의 사회학교수 밀 러(Herbert A. Miller), 회계 페이스리(H. E. Paisley), 서기 베네딕트(George G. Benedict) 『이브닝 레저 (Evening Legers)』 기자이고, 서재필을 비롯한 11명 의 이사진으로 구성되었다. 필라델피아에서 시작된 한국친우회는 그후 워싱턴, 보스톤, 시카고, 샌프란 시스코 등 21개 지역에서 결성되었다. 필라델피아에 설립된 한국통신부 미주 한인사회에서는 3 · 1독립선언 이후 서재필 이 미국정부와 미국민을 상대로 상당한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하였다. 1919년 4월 29일 대한인국민 회 중앙총회장 대리 백일규는 서재필에게 외교고 문 위임장을 작성하였으나, 실제로 서재필을 외교고문 필라델피아 한국친우회의 설립 목적을 명시한 영문 문서(대한인국 민회 자료)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장 대리 백일규가 서재필에 게 보낸 서한(1919년 11월 25일) 필라델피아 한국친우회 회장 톰킨스 목사의 성삼위 교회(Holy Trinity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