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page
10 2024년 11월 Column 명사 칼럼 작은 소리 큰 울림 ‘진실화해위’, 2024년 8월 첫 조사 결과 ‘인 권침해’ 발표 대한민국 정부 산하의 「진실 · 화해를 위한 과 거사 정리위원회」, 약칭 ‘진실화해위’는 2024 년 8월 7일에 이 사건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 차원의 첫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 르면, “이 사건은 북한 정권과 조총련이 사전 에 기획한 사건”으로, 북송자 대부분은 ‘북한 은 지상 낙원’, ‘차별 없고 일 한 만큼 분배받는 다’. ‘이상 사회처럼 살 수 있다’, ‘북한이 일본 보다 잘 살고 인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조총 련 선전을 믿고 북한으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정작 북한으로 이주한 재일교포들은 평양이 아닌 량강도의 혜산 등 시골에 배치되 어 거주와 이전의 자유를 억압받았다. 협동농 장의 농민, 광산과 탄광의 광부, 공장의 노동 자로 배치된 재일교포들은 ‘성분 조사’를 통해 ‘적대 계층’으로 분류되어 철저한 감시와 차별 을 받았다. 속은 것을 깨달았으나 이미 늦었다. 목숨을 건 탈북에 성공하고 일본으로 돌아온 사람들은 셀 수 있을 정도의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진실화해위」는 “이 사건의 일차적 책임은 조직적이면서 체계적으로 거짓 선전을 벌였으 며, 개인의 귀국 의사 확인 기회를 차단하고, 강제 승선을 시키며 북송 거부자를 납치한 북 한 정권과 조총련에 있다”라고 단정했다. 그러 면서 “당시 일본 정부와 「일본적십자사」가 북 한의 현실과 북송 사업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 었음에도 의도적으로 북송 사업을 지원하고 지속시켜 북송자에 대한 북한 정권의 인권 침 해를 용인했다”라고 덧붙였다. 전적으로 옳은 지적이다. 포악한 북한 정권 존재, 북한 동포들 삶 향상 시키는 평화통일의 길 찾아야 이 대목에서 필자가 상기시키고자 하는 사안 이 있다. 그것은 그 시기에, 특히 북송의 개시를 전후한 몇 해에 걸쳐, 일본의 이른바 지식인 또 지난 2015년 4월 13일 일본 가쿠슈인대학[學習院大學]에서 강철 환 북한전략센터 대표(오른쪽)와 김동식 박사(왼쪽)가 재일동포 북 송문제와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아시아투데이 제 공). 2022년 12월 9일 ‘재일교포 북송사업’ 생존자 및 피해가족들이 ‘진실화해위원회(진화위)’를 방문해 관련 사안에 관한 공식 조사를 신청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