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33관음성지순례-강원 횡성 원주 치악산 구룡사(雉岳山 龜龍寺) 신라의 고승 의상(義湘)이 668년(문무왕 8년)에 세웠다고 전해지며, 창건 당시 이름은 구룡사(九龍寺)였던 것을 조선 중기 이후부터 '아홉 구(九)'자를 '거북 구(龜)'자로 고쳐 써 오늘에 이른다고 한다. 신라말,고려초 도선국사의 비보사찰중의 하나로 수많은 고승의 발자취가 남아있다.현존 당우는 대웅전,보광루(普光樓) ,삼성각(三聖閣),심검당(尋劍堂) ,
[본문] 33관음성지순례-5대 적멸보궁(寂滅寶宮) 흥녕선원 강원 영월 사자산 법흥사(獅子山 法興寺)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 자장율사가 중국 종남산 운제사에 모셔져 있는 문수보살의 석상 앞에서 7일간의 정진기도 끝에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문수보살로부터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가사,발우 등을 전수받아 사자산(연화봉)에 불사리를 봉안하고 흥녕사(興寧寺)라 개창한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의 하나인 불보 사찰이다. '적멸보궁'이란 '온갖 번뇌망상이 적멸한 보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 강원 평창 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 상원사(上院寺)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 강원 평창 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 상원사(上院寺) 월정사는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으니 그 때가 신라 선덕여왕 12년(643) 이었다. 월정사의 암자인 상원사에는 부처의 정골사리를 모신 적멸보궁과 국보 제36호인 상원사 동종을 비롯해 조선 7대왕인 세조와 관련된 목조문수 동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조계종 제 3교구 본사 강원 속초 설악산 신흥사(雪嶽山 新興寺) 신라 진덕여왕 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 향성사(香城寺) 라고 하였다.그 후 화재발생한후 의상조사께서 능인암(현재 내원암)터에 중건하고 이름을 선정사(禪定寺)로 개칭. 인조20년 또다시 화재가 발생하여 소실된 것을 중창을 서원하고 기도 정진 중, 백발신인이 나타나서 지금의 신흥사 터를 점지해주었다고 절 이름을 신인이 길지를 점지해 주어 흥왕하게 되었다 하여 신
[본문] 33관음성지순례-2005년 4월 산불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던 강원 양양 오봉산 낙산사(五峰山 洛山寺), 홍련암(紅蓮庵) 2005년 4월 산불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던 강원 양양 오봉산 낙산사(五峰山 洛山寺) 신라 문무왕 11년(671년) 의상(義湘)이 창건하고 조선 세조때 중수하여 이름을 크게 떨치었지만 한국 전쟁 때 없어진 것을 1953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의상대사가 수도한 절벽 위에 정자를 세워 의상대(義湘臺)라 불렀고, 관음보살이 바다에서 붉은 연꽃을 타고 솟아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경북 대구팔공산 동화사(八公山 桐華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경북 대구 팔공산 동화사(八公山 桐華寺) 신라말인 934년 영조 靈照선사, 고려 명종 20년(1190) 지눌보조 普照국사, 고려 충렬왕 24년(1298)홍진 弘眞국사에 의해 각각 중창 중건되었다. 보조국사는 호국불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동화사 중창에 크게 공헌하여 동화사와 염불암에 영정이 모셔져 있다. 또 고려 말기 대표적인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 조계종 제 10교구본사 경북 영천 팔공산 은해사(八公山 銀海寺)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 조계종 제 10교구본사 경북 영천 팔공산 은해사(八公山 銀海寺) 신라시대에 혜철이 창건한 해안사를 시초로,불교 신자인 문정왕후가 집권하게 된 조선 명종 원년(1546년)에 국가의 보조금을 받아 자리를 옮겨 새로 짓게 되었다. 이때 조선 인종의 태실을 봉하고 이름은 은해사로 고쳤다. 은빛 바다라는 뜻의 은해사라는 이름은 극락정토에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 조계종 제 16교구본사 경북 의성 등운산 고운사(騰雲山 孤雲寺)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 조계종 제 16교구본사 경북 의성 등운산 고운사(騰雲山 孤雲寺) 고운사의 처음 이름은 高雲寺(고운사). 해동 화엄종의 시조로 추앙되는 신라의 의상(義相) 대사가 681년에 창건한 사찰이다. 그 뒤 신라시대의 탁월한 문학가이자 정치인이었던 고운 최치원(崔致遠)이 이곳에 머물며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후대 사람들이 최치원의 호 ‘孤雲
[본문] 일본판 독도함, 해상자위대 차기 헬기 구축함(DDH) 휴우가(Hyuga)함 최초 일반공개 일본의 16DDH(휴우가급)는 우리의 독도함과 외양과 각종 스펙이 매우 닮아, 일본판 독도함이라 불린이다. DDH-181 휴우가는 이탈리아 해군의 13,850톤급인 주세페 가리발디 항공모함, 스페인 해군의 17,000 톤급 프린시페 드 아스투리어스 항공모함, 영국 해군의 21,000 톤급 인빈시블급 항공모함과 비슷한 외형을 갖추고 있다. PBS 다큐멘타리에
[본문] 감은사터(感恩寺址), 국보 112호인 삼층석탑 그리고 신라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감은사터(感恩寺址), 국보 112호인 삼층석탑 그리고 신라 문무대왕릉(文武大王陵)
[본문] 33관음성지순례-임진왜란시 경주지역 의병과 승병활동의 중심 경주 함월산 기림사(含月山 祇林寺) 일제 강점기에는 31본산의 하나였으나 조계종에서는 불국사의 말사로 편성되어 있다.신라 때 인도 승려인 광유(光有)가 창건하고 이름은 임정사(林井寺)라고 했다. 643년에 원효가 중창한 뒤 기림사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전해진다. 기림사는 석가모니의 기원정사(祇園精舍)에서 '기'자를 따와 붙인 이름이다. 임진왜란 당시 기림사는 전략요충지로서 경주지역 의병과 승병
[본문] 33관음성지순례-세계문화유산,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 경주 토함산 불국사(吐含山 佛国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이다. 또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이다.서기 528년(신라 법흥왕 15)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迎帝夫人)의 발원(發願)으로 불국사를 창건하여 574년 진흥왕(眞興王)의 어머니인 지소부인(只召夫人)이 절을 크게 중건하면서 비로자나부처님(毘盧遮那佛)과 아미타부처님(阿彌陀佛)을 주조해 봉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불보사찰(佛寶寺刹),적멸보궁(寂滅寶宮) 양산 영축총림(靈鷲叢林) 영취산 통도사(靈鷲山 通道寺) 영축산의 기운(氣運)이 서역국 오인도(西域國五印度)의 땅과 통(通)한다고 하여 통도사라 불렀다고 한다.우리나라 삼보(三寶)사찰 가운데 법보사찰이며 대한 불교조계종 최대의 총림 종합수도장이며 5대 총림(叢林)중의 하나이다. 총림이란 강원, 선원, 율원, 염불원을 모두 갖춘 사찰을 말하는데, 영축총림 통도사, 가야총림 해인사, 조계총림 송광사, 덕숭총림 수덕
[본문] 33관음성지순례-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 선찰대본산 부산 금정산 범어사(金井山 梵魚寺) 신라 문무왕 시절에 의상에 의해서 지어졌다. 후에 조계종으로 합쳐진 화엄종의 10대 사찰 안에 속했다.. 지금은 선찰대본산으로 조계종의 종지의 사찰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임진왜란을 만나 모두 소실되어 광해군때 다시 중건하였으며 현재의 건물은 대부분이 조선 이후의 것이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동국의 남산에 명산이 있어서 그 산정에 높이 50여 척의
[본문] 33관음성지순례-사명대사가 출가한 절, 조계종 8교구 본사 경북 김천 황악산 직지사(黃嶽山 直指寺) 사명대사가 출가한 절, 조계종 8교구 본사 김천 황악산 직지사(黃嶽山 直指寺).임진왜란 때는 유명한 승병장이었던 사명대사가 출가한 절이라 하여 왜병들의 혹독한 보복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직지사(直指寺)라는 이름의 유래는 세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아도화상이 직지사를 창건할 때 손가락 을 곧게 뻗어 '큰 절이 들어설 자리'를 가르켰다 하여 붙
[본문] 동생과 같이한 남해 어머니 칠순여행(여수, 남해, 함양, 합천) 어머니 칠순을 앞두고 동생과 같이한 남해, 고향, 합천등의 여행을 했다. 남해힐튼에서 머물면서 남해의 충무공관련 유적, 남해의 절경, 보리암 그리고 고향에 들어 아버지 산소와 합천해인사들을 돌아봤다.
[본문] 보물섬 남해의 다랭이논으로 유명한 남해 가천마을과 지족해협 창선교의 원시어업 죽방렴 다랭이논으로 유명한 남해 가천마을, 지족해협 창선교의 V자 모양의 대나무 정치망인 죽방렴은 길이 10m 정도의 참나무 말목 300여개를 물살이 빠르고 수심이 얕은 갯벌에 박고 주렴처럼 엮어 만든 그물을 물살 반대방향으로 벌려 놓은 원시어장이다.
[본문] 33관음성지순례-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팔만대장경판전의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 최대 총림 합천 가야산 해인사(伽倻山 海印寺) 33관음성지순례-법보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 최대 총림 합천 가야산 해인사(伽倻山海印寺).우리나라 삼보(三寶)사찰 가운데 법보사찰이며 대한 불교조계종 최대의 총림 종합수도장이며 5대 총림(叢林)중의 하나이다. 총림이란 강원, 선원, 율원, 염불원을 모두 갖춘 사찰을 말하는데, 영취총림 통도사, 가야총림 해인사, 조계총림 송광사, 덕숭총림
[본문] 33관음성지순례-3대 관음기도처의 하나이면서 주변경관이 뛰어난 남해 금산 보리암(錦山 菩提庵) 양양 낙산의 홍련암, 강화 석모도의 보문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관음기도처로 이름 높은 곳. 보리암(菩提庵)은 한자로 보살 보(菩), 보리수나무 리(提/들제)인데, 본음은 보제(菩提)이다. 불교의 용어로서, 도(道), 지(智), 각(覺)의 뜻이며,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정각(正覺)의 지혜와 불과(佛果), 또는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본문] 명량해협의 남해대교와 충렬사, 이충무공 가묘 그리고 관음포 충무공 전몰유허 제주도, 거제도, 진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 큰섬. 창선•삼천포대교 개통 이전까지 남해의 관문은 동양 최대의 현수교라 불렸던 남해대교이다. 남해대교가 가로지른 노량해협은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이 시작된 곳으로, 충무공 이순신이 관음포에서 전사한 후 시신을 잠시 모셨던 충렬사와 이순신 장군이 3개월간 묻혔던 자리에 아직도 가묘가 남아 있다는
[본문] 베이징 수안산(서우안산,寿安山)기슭 베이징식물원 와불사(卧佛寺,워포사) 54톤 동와불상 베이징 수안산(서우안산,寿安山)기슭 베이징식물원 와불사(卧佛寺,워포사) 54톤 동와불상, 홍루몽의 작가 조설근 기념관 '누워 있는 불상이 있는 사찰'이란 의미의 와불사는 스팡푸줴쓰(시방보각사,十方普覺寺)라고도 하며, 베이징식물원[北京植物 ]의 서우안산[ 安山] 기슭에 위치한다.
[본문] 서구 열강에 의해 철저히 파괴된상태로 남아있는 자금성보다 더 큰 베이징 원명원(圓明園,위안밍위안) 원명원은 1709년 강희제(康熙帝)가 아들 윤진에게 하사한 별장이었으나 윤진이 옹정제(雍正帝)로 즉위하자 황궁의 정원으로 조성. 그뒤 건륭제(乾隆帝)가 바로크식 건축양식을 더하여 확장,장춘원(長春園), 기춘원(綺春園 : 나중에 만춘원)을 새로 지었다. 이곳은 1709년부터 1860년까지 황제가 기거하며 정무를 처리하던 곳이었다. 1860년, 영·프 연합군
[본문]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명13릉(明十三陵,밍스싼링) 정릉(定陵,딩링,임진왜란때 군사를 파견한 만력제) 지하궁전 임진왜란때 우리나라에 군사를 파견했을때의 명나라 황제 13대 만력제(선쭝완리황디,神宗萬歷皇帝) 와 두 명의 황후가 잠든 곳이다.22살에 황제에 올라 가장 재위기간이 길었지만 정치에 뜻이 없어 주색에만 몰두했다고 한다. 특히 자신의 묘인 딩링을 만드는데 온 힘을 쏟았다. 딩링은 완리 12년째인 1584년에 공사를 시작해 6년 세월동안 국비 2년 분의 투자와
[본문]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저우커우뎬(周口店)의 베이징원인(北京原人) 유적지 베이징(北京) 팡산구(房山區) 저우커우뎬(周口店])의 룽구산(龍骨山)에서 발견된 화석인류이다.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아종(亜種)으로 분류된다. 신생대 제4기의 첫 시기에 나타났으며, 생존 시기는 약 70~20만년 전으로 추정된다. 자바원인(Java Man)과 함께 원인(原人) 단계의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를 대표한다. 저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