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와세다대학 유아교육과 학생들 와세다대학 유아교육과 학생들
[본문] 가을성묘 가을성묘
[본문] 2009년 한국유아체육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학술지 2009년 한국유아체육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학술지
[본문] 나라를 위해 전사한 병사를 추모하는 미국의 각 시들의 기념하는 방법 일요일에 교회가는 길에서 만난, 나라를 위해 전사한 병사를 추모하는 미국의 각 시들의 기념하는 방법
[본문] 2009년 한국유아체육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갤러리 2009년 한국유아체육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갤러리
[본문] 샌디에고 미드웨이 항모박물관(San Diego USS Midway Aircraft Carrier Museum)과 라구나 해안(Laguna) 샌디에고 미드웨이 항모박물관(San Diego USS Midway Aircraft Carrier Museum)과 라구나 해안(Laguna Beach) 전장 306.6 m, 선폭 34.4 m, 배수량 67,000 t, 항모운영요원 2,530 명 엔진출력 212,000 HP, 항공운영요원 2,240 명, 최대속도 32 knot, 항공기 65~75 대, 항
[본문] 오랫만의 LA에서 만난 반가운 얼굴 찰스와 덕천 오랫만의 LA에서 만난 반가운 얼굴 찰스와 덕천 8년만에 찾은 로스앤젤레스. 정말 오랬만에 이곳에서 정착하고 있는 덕천이와 연락이 되어서, 회포를 풀었다.
[본문] 산청 생초 계남 등골과 함양 대치 청동골 산소벌초(밀성/밀양박씨 태사공-은산공-송은공-졸당공(拙堂公)-두촌공-서림(書林)-후생(厚生) 밀성/밀양박씨 박씨 태사공-은산공-송은공-졸당공(拙堂公)-두촌공-서림(書林)-후생(厚生) 생초 계남 등골과 청동골 산소벌초 생초 등골의 成望(성망)配,有起(유기) 청동골의 成在(성재), 熙烈(희렬), 宗赫(종혁), 熙錫(희석)
[본문] 어머니와 함께 40년만에 가본 외가가 있던 동네 모실과 고향 선산 벌초(경남 함양군 유림면) 어머니와 함께 40년만에 가본 외가가 있던 동네 모실과 고향 선산 벌초
[본문] 가슴아픈 역사 산청군 산청.함양사건 추모공원 가슴아픈 역사 산청.함양사건 추모공원 6·25 전란 중이던 1951년 2월 7일 육군 11사단9연대3대대에 의해 견벽청야라는 작전명에 따라 지리산 공비토벌 작전이 전개되면서 산청군 금서면 가현, 방곡 마을과 함양군 휴천면 점촌 마을, 유림면 서주 마을 등에서 양민 705명이 희생되었던 바, 이때 억울하게 희생된 영령들을 모신 묘역입니다. 합동묘역조성과
[본문] 가야왕릉탐사 나라잃은 나를 흙으로 덮지말라고한 금관가야의 마지막왕 구형왕릉과 덕양전, 김유신 사대비 가야왕릉탐사 나라잃은 나를 흙으로 덮지말라고한 금관가야의 마지막왕 구형왕릉과 덕양전, 김유신 사대비 가락국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무덤으로 구형왕은 가락국 제10대 임금이며, 532년 신라에 멸망됨으로써 신라 덕흥왕에게 덕으로 나라를 양도하고 이 곳에 와 살다가 묻혔다고 전해온다. 무덤의 형태는 경사진 지형을 이용하여 잡석으로 방형의 단을 이루면서 피라밋
[본문] 가야왕릉탐사 경남 고성의 작은가야가 아닌 소가야 가야왕릉탐사 경남 고성의 작은가야가 아닌 소가야 “고성군은 본래 고자군(古自郡)”이라고 되어 있으며, ≪삼국지 三國志≫ 위서 동이전 한조에는 변한 12국 중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이 있는데, 이 두 사서에서 ‘고자’는 동음이자(同音異字)로 표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고자’의 ‘자’는 성(城)을 뜻하는 우리 말의 고어이다. 그러므로 신라 경
[본문] 가야왕릉탐사 후기 가야연맹의 중심 안라국(安羅國)의 고도, 함안(咸安)의 아라가야(阿羅伽倻) 가야왕릉탐사 후기 가야연맹의 중심 안라국(安羅國)의 고도, 함안(咸安)의 아라가야(阿羅伽倻) 아나가야(阿那加耶), 안라(安羅), 아야가야(阿耶伽耶), 아시량국(阿尸良國)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전기 가야연맹은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42년부터 400년까지 형성된 연합 집단이다. 209년 포상팔국이 쳐들어 오자 신라에 도움을 청하고 물계자 장군의 공으로
[본문] 역사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불공 드리러 가는 고려시대 여성들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송은 박익 고법리 벽화) 역사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불공 드리러 가는 고려시대 여성들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송은 박익 고법리 벽화) 밀양고려벽화(묘가 사적 459호)밀양시 청도면 고법리 벽화고분으로 송은(松隱) 박익(朴翊. 1332-1398) 묘에서 발견됨. 불공 드리러 가는 고려시대 여성들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는 벽화이다. 출처 한국 양성평등교육진흥원
[본문] 밀양박씨(密陽朴氏) 송은공(松隱公) 박익(朴翊)선생 묘벽화에 대한 자료(고법리 고분벽화에 나타난 의복연구) 밀양박씨(密陽朴氏) 송은공(松隱公) 박익(朴翊)선생 묘벽화에 대한 자료 密陽 古法里 古墳壁畵에 나타난 服飾 硏究 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의 밀성박씨 묘역의 능선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밀양 고법리 박익 벽화묘는 석인상, 갑석, 호석을 갖춘 방형분으로서, 봉분은 가로 6m, 세로 4.8m, 높이 2.3m이며, 내부 석실(길이 .5m, 폭 1m, 높이
[본문] 불사이군(不事二君) 두문동72현, 고려8은 밀양박씨(密陽朴氏) 송은공(松隱公) 박익(朴翊)선생 관련 자료 밀양박씨(密陽朴氏) 송은공(松隱公) 박익(朴翊)선생 관련자료 고려말의 문신이며 학자인 송은 박익(松隱 朴翊)선생(1332, 7, 27-1398, 11, 27)의 휘(諱)는 익(翊), 초명(初名)은 천익(天翊), 자(字)는 태시(太始), 호(號)는 송은(松隱), 본관(本貫)은 밀성(密城), 공민왕조(恭愍王朝)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제소감(司宰少監)을
[본문] 가야왕릉탐사 김해 금관가야의 구산동 고분군, 대성동 고분군 가야왕릉탐사 김해 금관가야의 구산동 고분군, 대성동 고분군 금관가야는 본가야(本伽倻)라고도 한다. 원래 9촌(村)의 장(長)이 있어서 각촌을 다스리다가, 수로왕이 나와서 9촌을 통일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수로는 그때의 군장(君長)이 아니라, 후대로 내려와 본가야 중심의 6가야 연맹체를 결성할 때의 가야의 중시조(中始祖)라는 설(說)도 있다.
[본문] 가야왕릉탐사 김해의 금관가야(金官加耶) 시조 김수로왕릉, 허황옥왕비릉, 구지봉(龜旨峰) 가야왕릉탐사 김해의 금관가야(金官加耶) 시조 김수로왕릉, 허황옥왕비릉, 구지봉(龜旨峰) 일명 ‘수릉(首陵)’이라고도 하며, 금관가야의 시조이며 또한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이기도 하다.
[본문] 가야왕릉탐사 경북 고령(高靈)의 대가야(大加耶) 박물관, 지산리 고분군 가야왕릉탐사 경북 고령(高靈)의 대가야(大加耶) 박물관, 지산리 고분군 200기가 넘는 크고 작은 대가야시대의 무덤들이 있는데 윗부분은 지름 10m 이상의 대형무덤이, 중간에는 지름 10m 안팎의 중간크기의 무덤이, 그리고 아래쪽에는 작은 무덤들이 주로 모여 있다.이곳 주산의 남쪽 제일 큰 무덤이 금림왕의 능이라고 전해지고 있으며 그 아래로 큰 무덤들도
[본문] 가야왕릉탐사 성산가야(星山伽倻)의 고분군 경북 성주군  성산동고분 가야왕릉탐사 성산가야(星山伽倻)의 고분군 경북 성주군  성산동고분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 있던 나라로 벽진가야(碧珍伽耶)라고도 한다. 성주군 내에는 성산동 ·명천동 ·용각동고분군이 있는데 이 중 성산동고분군이 규모가 가장 크고, 또 낙동강 지류의 합류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
[본문] 가야왕릉탐사 고령가야(古寧伽倻)의 시조이자 함창김씨의 시조 경북 상주 함참의 태조왕릉 가야왕릉탐사 고령가야(古寧伽倻)의 시조이자 함창김씨의 시조 경북 상주 함참의 태조왕릉 42년 낙동강을 중심으로 일어난 여섯 가야(伽倻) 중 하나인 고령가야 태조의 무덤이라고 전해오고 있다.고령가야는 낙동강 일대인 함창, 문경, 가은 지방을 영역으로 하여 세워진 나라로,『삼국유사』의 5가야조와『삼국사기』의 고령군조에 그 이름이 보이고 있다.조선 선조 25
[본문] 신라왕릉탐사 역대 왕릉 중에서 규모가 크고 형식이 완전히 갖추어진 대표왕릉 42대 흥덕왕릉 신라왕릉탐사 역대 왕릉 중에서 규모가 크고 형식이 완전히 갖추어진 대표왕릉 42대 흥덕왕릉(興德王, AD 826-836) 흥덕왕은 임금이 된 첫해에 왕비인 장화부인(章和夫人)이 죽었는데, 11년 동안 죽은 장화부인만 생각하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왕이 장화부인의 무덤에 합장하기를 유언하여 흥덕왕릉에 합장하였다고 하며, 능의 주변에서 ‘興德’이라 새겨진
[본문] 서강대 경희동문 서강대 경희동문
[본문] 잊혀진 왕국 금관가야(金官加耶), 대가야(大加耶), 소가야(小加耶), 아라가야(阿羅加耶), 고령가야(古寧伽倻), 성산가야(星山伽倻), 비화가야 잊혀진 왕국 가야(伽揶) 연맹체 김해의 금관가야(金官加耶), 고령(高靈)의 대가야(大加耶), 고성의 소가야(小加耶), 함안의 아라가야(阿羅加耶), 상주의 고령가야(古寧伽倻), 성주의 성산가야(星山伽倻), 창녕의 비화가야(比火加耶)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