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제기가 문화재로 등록된 송은, 아당,졸당을 모신 산청군 신안면 진태의 신계서원(新溪書院), 정충사(貞忠祠)와 秦(진) 할아버지 산소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제기가 문화재로 등록된 송은, 아당,졸당을 모신 산청군 신안면 진태의 신계서원(新溪書院), 정충사(貞忠祠)과 蓁(진) 할아버지 산소 세한재(歲寒齋)
[본문] 기술부영업팀 기술부영업팀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대병면의 원천재(源泉齋)와 生員公書林(생원공서림), 元亮(원양)의 묘소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대병면의 원천재(源泉齋)와 生員公書林(생원공서림), 元亮(원양)의 묘소 합천 대병면의 악견산 아래 송지(松旨 : 성리.) 마을이 있으니, 이씨 조선 초기에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증직(贈職)된 졸당(拙堂) 박총(朴聰) 선생께서 산수경관이 수려(秀麗)하고 절경(絶景)이 좋아,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 송악마을(못골)에서 노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졸당공(拙堂公)의 2남 태인공(泰仁公) 희문(熙文)의 산천재(山泉齋), 판사공 彦林(언림) 묘소, 三山(삼산), 梅山(매산), 취화당(翠華堂), 熙泰(희태), 熙相(희상), 해은(海隱), 악견(嶽堅) 선조의 묘소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졸당공(拙堂公)의 2남 태인공(泰仁公) 희문(熙文)의 산천재(山泉齋), 판사공 彦林(언림) 묘소, 三山(삼산), 梅山(매산), 취화당(翠華堂), 熙泰(희태), 熙相(희상), 해은(海隱), 악견(嶽堅) 瑞龜(서구) 선조의 묘소 산천재(山泉齋)란 바로 우리, 졸당(拙堂) 선생의 차남인 태인부군(泰仁府君) 휘(諱) 송재공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두촌공(杜村公) 承文(승문) 봉산재(鳳山齋), 팔정공 봉서재(鳳棲齋), 密陽朴氏 玉山亭 遺墟碑(밀양박씨 옥산정 유허비), 두촌공 묘소, 찰방공 士林(사림) 묘소, 습독공 儒林(유림) 묘소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두촌공(杜村公) 承文(승문) 봉산재(鳳山齋), 팔정공 봉서재(鳳棲齋), 密陽朴氏 玉山亭 遺墟碑(밀양박씨 옥산정 유허비), 두촌공 묘소, 찰방공 士林(사림) 묘소, 습독공 儒林(유림) 묘소 오래 전부터 졸당(拙堂) 선조님의 봉산재(鳳山齋) 묘각(墓閣)이 있었는데, 이를 합천군 용주면 봉기리에 옮겨 짓고, 재실의 이름을 봉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봉기리 졸당공(拙堂公) 박총(朴聰)의 봉양재(鳳陽齋)와 묘소, 유허비(遺墟碑)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합천 봉기리 졸당공(拙堂公) 박총(朴聰)의 봉양재(鳳陽齋)와 묘소, 유허비(遺墟碑) 졸당공(拙堂公)은 1353년6월24일(고려 공민왕 2년 : 高麗 恭愍王2年) 계사 생 (癸巳生)으로,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삽포리에서 출생(出生),87세 까지 천수를 누 리고,1439년2월2일 기미년 (己未年,조선 세종대왕 21년:朝鮮 世宗
[본문] DEC100 상패 DEC100 상패
[본문] DEC100(97) DEC100(97)
[본문] DEC100(96) DEC100(96)
[본문] DEC100(95) DEC100(95)
[본문] DEC100(94) DEC100(94)
[본문] DEC100(93년) DEC100(93년)
[본문] (주)한국디지탈 갤러리 모음 한국디지탈에 함께 근무했던 기술부 영업팀들의 '93 ~'97년까지의 DEC100 참가 여행및 부서 MT 갤러리 모음
[본문] 서강79 전자(복학생) 서강전자79(복학생)
[본문] 동창가족모임 동창가족모임
[본문] 밀성(밀양)박씨 태사공-은산공-송은공-졸당공(拙堂公)-두촌공-서림(書林)-후생(厚生) 가계도 밀성(밀양)박씨 태사공-은산공-송은공-졸당공(拙堂公)-두촌공-서림(書林)-후생(厚生) 가계도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밀양 고법리 송은공(松隱公) 朴翊(박익)의 보본재(報本齋)와 최초로 고려벽화가 발견된 묘소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송은공(松隱公) 朴翊(박익)의 보본재(報本齋)와 최초로 고려벽화가 발견된 묘소 시조이신 박혁거세의 43세, 밀성대군의 14세인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朴永均(박영균)의 장남이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을 할수 없다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72현, 고려 팔은(八隱)중의 한분이시며, 묘소에서 고려의 벽화가 발견되었었다. 보본재는 송은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朴永均(박영균)의 추원재(追遠齋), 典客令 휘 天卿(천경), 묘소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 朴永均(박영균)의 추원재(追遠齋), 典客令 휘 天卿(천경), 묘소 고려의 문신으로 이부상서(吏部尙書) 대화(大和)의 손자이며 양효공(良孝公) 간(幹)의 아들이다. 익대공신(翊戴功臣)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 3재상을 역임하였다.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으로 추봉되었으며
[본문]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영남루 밀성대군 朴彦忱(박언침)의 단소(壇所), 밀성재(密城齋), 익성사(翊聖祠) 밀성/밀양박씨 뿌리를 찾아서, 영남루 밀성대군 朴彦忱(박언침)의 단소(壇所), 밀성재(密城齋), 익성사(翊聖祠) 밀양 영남루에 있는 단소는 밀성대군의 묘소로 추정되는곳이고, 밀성재(密城齋)는 밀양시 내일동 아북산 기슭에 위치한 밀성대군의 재사이며, 익성사(翊聖祠)는 신라말,고려초에 군도(群盜)를 토벌하여 태조(太祖)의 건국사업에 공(功)이 많은, 밀성대군
[본문] 잊혀진 가야왕국 탐사. 창녕의 비화가야(比火加耶) 잊혀진 가야왕국 탐사. 창녕의 비화가야(比火加耶) 1918년에서 1919년에 걸쳐 일본인에 의해 교동고분군의 일부가 발굴 조사되었지만 발굴보고서가 제대로 간행되지 못한 것은 물론, 발굴유물의 대부분은 일본으로 옮겨가고 일부만 국내에 남아있다. 일본으로 옮겨간 유물의 일부분이 현재 도쿄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고한다.
[본문] 서강79 중국호남성의 권순용 원자바오 총리가 방문한 권순용공장
[본문] 서강전자79 서강전자79
[본문] 눈물젖은 초콜릿 눈물젖은 초콜릿
[본문] 아르헨티나식 바베큐 아사도(Asado) 파티및 하루 세끼 꼬박먹기 아르헨티나식 바베큐 아사도(Asado) 파티및 하루 세끼 꼬박먹기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